2013년 3월 4일 월요일

특수아동의 미술치료

특수아동의 미술치료
특수아동의 미술치료.hwp


목차
<목차>

Ⅰ. 장애아동

Ⅱ. 특수아동에 대한 이해

Ⅲ. 발달장애아동의 미술치료
1. 학습장애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2. 정신지체의 특성과 미술치료
3. 정서장애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4. 자폐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Ⅳ. 감각장애 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1. 시각장애 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2. 청각장애 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Ⅴ. 신체장애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참고문헌>


본문
Ⅰ. 장애아동

장애(障碍) 라는 말은 사전적 정의로는 막아서 걸리적 거림을 뜻한다. 장애아동 및 특수교육의 관련된 전문가들은 신체와 정신의 장애를 표현하는데 장애는 우리말로 무질서 혼란, 불리, 손상 등의 다양한 의미로 표현되는데 혼란은 정신적 장애의 표현으로 손상은 신체적 표현으로 각기 그 쓰임이 다르게 나타난다.
장애인은 정상인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 보통사람에 비해 좀 떨어지거나 사회의 불필요한 존재로써의 인식이 아니라 단지 정상인과는 다른 특성과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그와 대비하여 소위 장애를 판단하는 기준의 정상이라 함은 장애를 갖고 있지 않은 비장애의 의미로써 장애의 특성을 인정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왜곡된 사회적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본문내용
. 정서장애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4. 자폐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Ⅳ. 감각장애 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1. 시각장애 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2. 청각장애 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Ⅴ. 신체장애아동의 특성과 미술치료
<참고문헌>
Ⅰ. 장애아동
장애(障碍) 라는 말은 사전적 정의로는 막아서 걸리적 거림을 뜻한다. 장애아동 및 특수교육의 관련된 전문가들은 신체와 정신의 장애를 표현하는데 장애는 우리말로 무질서 혼란, 불리, 손상 등의 다양한 의미로 표현되는데 혼란은 정신적 장애의 표현으로 손상은 신체적 표현으로 각기 그 쓰임이 다르게 나타난다.
장애인은 정상인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 보통사람에 비해 좀 떨어지거나 사회의 불필요한 존재로써의 인식이 아니라 단지 정상인과는 다른 특성과 조건을

참고문헌
<참고문헌>

최중옥 저, 특수 아동의 이해와 교육, 교육과학사, 2000
한국정신지체아 교육연구회 편, 특수아동의 교육, 심리진단 이론과 실제, 특수교육, 1993
이소현 외 저,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1998
캐시 A 말키오디, 미술치료, 조형교육, 2000


하고 싶은 말
특수아동의 미술치료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여러 가지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