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27일 수요일

입학사정관제 정책방안과 현황

입학사정관제 정책방안과 현황
입학사정관제 정책방안과 현황.hwp


목차
1. 입학사정관제도
1.1 개념 및 목적
1.2 도입배경

2. 기대효과
2.1 학교 교육의 정상화
2.2 대학의 특성화
2.3 교육기회의 확대와 사회적인 평등의 실현

3. 정책방안
3.1 3단계 정책방안
3.2 공정성 및 신뢰성 확보방안
3.2.1 대학의 노력
3.2.2 한국교육협의회의 노력
3.2.3 고등학교의 노력

4. 입학사정관제 운영현황
4.1 입학사정관전형 실시 현황
4.2 입학사정관의 역할 확대
4.3 입학사정관제 실시 사례
4.3.1 카톨릭대 ‘잠재능력우수자전형’
4.3.2 건국대 ‘KU 자기추천전형’
4.3.3 경희대 ‘네오르네상스전형’
4.3.4 서울대 ‘기회균형선발전형’
4.3.5 숙명여대 ‘자기주도학습우수자 전형’

5. 예상되는 문제점
5.1 사교육의 존재
5.2 공정성 및 신뢰성
5.3 교육의 불평등 현상 지속
5.4 학생들 부담 가중

6. 결론


본문
1. 입학사정관제도
1.1 개념 및 목적
입학사정관제도란 ‘대학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대학의 학생선발 방법 등에 대한 전문가인 입학사정관을 채용하고, 입학사정관을 활용하여 학생의 성적, 개인 환경, 잠재력 및 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를 말한다(남보우, 2008). 지금까지 대학들은 학생부수능시험대학별고사 등 성적 위주로 학생을 선발해 왔다. 그러다보니 초중등학교에서는 지나친 점수 경쟁을 초래했고, 대학 입장에서는 대학이나 모집단위의 특성에 맞는 잠재력과 소질을 가진 학생을 선발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학사정관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입학사정관제도 지원사업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첫째, 학교교육 정상화를 도모하고, 대학 간의 소모적 선발경쟁을 건설적 교육경쟁으로 전환한다. 둘째, 성적위주의 획일적 선발에서 학생의 잠재력, 대학의 설립이념, 모집단위 특성 등을 고려한 다면적 선발로 개편한다. 셋째, 학생부, 수능 성적, 각종 서류 등 다양한 전형 요소를 해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대입전형 전문가 활용체제를 구축한다. 넷째, 대학이 학생 선발에만 치우치지 않고, 기선발된 학생에 대한 연구와 추후관리 등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본문내용
확대와 사회적인 평등의 실현
3. 정책방안
3.1 3단계 정책방안
3.2 공정성 및 신뢰성 확보방안
3.2.1 대학의 노력
3.2.2 한국교육협의회의 노력
3.2.3 고등학교의 노력
4. 입학사정관제 운영현황
4.1 입학사정관전형 실시 현황
4.2 입학사정관의 역할 확대
4.3 입학사정관제 실시 사례
4.3.1 카톨릭대 ‘잠재능력우수자전형’
4.3.2 건국대 ‘KU 자기추천전형’
4.3.3 경희대 ‘네오르네상스전형’
4.3.4 서울대 ‘기회균형선발전형’
4.3.5 숙명여대 ‘자기주도학습우수자 전형’
5. 예상되는 문제점
5.1 사교육의 존재
5.2 공정성 및 신뢰성
5.3 교육의 불평등 현상 지속
5.4 학생들 부담 가중
6. 결론
1. 입학사정관제도
1.1 개념 및 목적
입학사정관제도란 ‘대학이 고등학교

참고문헌

김승태(2009). 대학 입학사정관제도의 운영성과 평가: 시범실시 대학을 중심으로. 국가정책
연구, 23(4), pp169-196.

김용기(2008). 입학사정관제도의 운영상 문제점 및 발전방안.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Forum, 7(2), pp.127-147.

남보우(2007). 대학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 도입의 과제 및 추진방향. 대학교육, pp.90-94.

신원동(2008). 잠재력 있는 인재를 찾기 위한 대학입학전형-입학사정관제 운영 사례를 중
심으로. 대학교육, pp.124-129.

신차균(2009). 입학사정관제도와 학교교육의 정상화. Educational Research, 29(1),
pp.1-19.

안정희(2009). 우리나라 입학사정관제 도입의 사회적 논의 과정 분석: 일간지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pp.20-23

양성관(2009). 대학입학사정관 양성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 대학교육, pp.67-72.

이지현(2008). 교육정책포럼: 입학사정관제의 도입과 발전방향. 한국교육개발원, 182권,
pp.8-12.

장덕호(2009). 대학입학사정관제 제도화 과정 분석 연구: 신제도주의 동형화 이론의 적용.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7(3), pp.121-144.


조선일보 기사(2009), 입학사정관제 모델 미국,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1/30/2009013001562.html

MBC 뉴스 (2011), 입학사정관제도 강남, 특목고 강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214&aid=0000180120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