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 정체감과 이성교제 관계 만족도의 상관관계 조사.hwp |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본문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이성교제는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 있어 하는 주제 중에 하나였으며 이 주제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도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청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로서 이성교제를 통한 사랑의 경험은 중요하게 강조되어 왔다. 그리고 이성교제 경험이 이후 배우자 선택과 결혼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성교제 방식은 사람마다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대부분 자신의 과거 경험과 그동안 살아오면서 발달시켜 온 자아를 중심으로 이성과의 관계를 만들어 나간다. Havinghurst는 청년기 특유의 심리 발달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잘 해결해 나가면 올바른 이성관을 확립하게 되어서 이성과의 관계를 성숙하게 유지하고, 결혼과 가정생활을 준비한다고 보았다.(김언희, 2004, 재인용). 자아 정체감이 확립된 사람이라야 친밀한 애정관계에서 자신이 상대방으로부터 압도당할 것 같은 위협을 느끼지 않고 상대방에게 노출되는 것에 대해서 과도하게 불안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의존성에서 탈피하여 사랑을 주고받는 교류가 가능하며, 자신의 감정을 자각하고 인지적으로 통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중술, 2001, 재인용) 이렇게 청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이 자아정체감과 이성과의 친밀감 형성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남녀 대학생의 전반적 자아정체감 수준과 이성교제 만족도에 관한 연구나, 자아정체감 수준이 이성교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20대 교회청년들의 자아정체감 지위와 이성교제 만족도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다는 이혜림의 연구(2002)를 제외하고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키워드 관계, 상관관계, 이성교제, 정체감과, 상관 |
2017년 4월 30일 일요일
자아 정체감과 이성교제 관계 만족도의 상관관계 조사
자아 정체감과 이성교제 관계 만족도의 상관관계 조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