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27일 일요일

불교불상불교불상불교불상 정의불교불상 종류불교불상 전래불교불상 발전불교불상 재료불교불상의 정의, 불교불상의 종류, 불교불상의 전래와 발전, 불교불상의 재료 분석(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불교불상불교불상 정의불교불상 종류불교불상 전래불교불상 발전불교불상 재료불교불상의 정의, 불교불상의 종류, 불교불상의 전래와 발전, 불교불상의 재료 분석(불교불상, 불교, 불상)
불교불상의 정의, 불교불상의 종류, 불교불상의 전래, 불교불상의 발전, 불교불상의 재료 분석.hwp


목차
Ⅰ. 개요

Ⅱ. 불교불상의 정의
1. 법신불(法身佛) :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공(空), 인간세계에 태어나지 않은 부처(대승불교 시대에 등장)
2. 보신불(報身佛) : 원만보신 노사나불, 원(圓)
3. 화신불(化身佛) :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 정(正)

Ⅲ. 불교불상의 종류
1. 32 상(相)
2. 80 종호

Ⅳ. 불교불상의 전래와 발전

Ⅴ. 불교불상의 재료
1. 금불상
2. 은불상
3. 금동불상
4. 철불상
5. 나무불상(木佛像)
6. 돌불상(石佛像)
7. 소조불상
8. 도자불상
9. 협저상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한국에서 처음 불상을 제작할 때 사용한 재료가 금속이었는지 석재였는지, 혹은 그 외의 재료이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하지만 불교 전래 당시의 상황으로 보아 중국에서 처음 전래한 불상은 운반이 용이한 소규모의 금동불이었을 것이므로, 한국에서도 금동에서도 금동으로 제작하기 시작하였을 것이고, 곧 이어서 석불이 제작되었으리라고 짐작되나 600년 이전에 제작된 확실한 불상은 없다. 그렇다고 석불을 제작하기 시작한 시기가 반드시 600년 이후는 아닐 것이며,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이전부터 제작하였을지도 모른다.
중국에서의 불상 양식 변천은 그때그때 한국에서 민감한 반응을 보였지만 한국에서 언제부터 석불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옛 기록을 참고하면 어느 정도의 추정은 가능하다.
일본의 역사서인 「日本書紀」에는 일본의 민달천황 13년에 백제의 사신으로 왔던 록심신이 미륵 석상을 가지고 귀국하였다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 중 략 ≫




Ⅱ. 불교불상의 정의

불상은 불교 교리에 의한 예배의 대상인 불타를 시각적인 조형매체로 표현한 조각상을 말한다. 불타는 출가하여 개인적인 수행을 거듭한 뒤 스스로 진리를 깨달은 각자(覺者)를 의미한다. 결국 불상은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이며 최고의 경지인 깨달은 이를 상징한다. 현세에 나타났던 불타는 고타마 싯다르타뿐이며, 기타 모든 불타는 불교에서 추구하는 진리와 불세계를 상징한다. 불상은 32상 80종호에 의해서 조성되는데 완성된 인격체를 표현한 여래상과 각종 보살상, 천왕상, 인왕상, 신장상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문내용
), 인간세계에 태어나지 않은 부처(대승불교 시대에 등장)
2. 보신불(報身佛) : 원만보신 노사나불, 원(圓)
3. 화신불(化身佛) :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 정(正)
Ⅲ. 불교불상의 종류
1. 32 상(相)
2. 80 종호
Ⅳ. 불교불상의 전래와 발전
Ⅴ. 불교불상의 재료
1. 금불상
2. 은불상
3. 금동불상
4. 철불상
5. 나무불상(木佛像)
6. 돌불상(石佛像)
7. 소조불상
8. 도자불상
9. 협저상
참고문헌
Ⅰ. 개요
한국에서 처음 불상을 제작할 때 사용한 재료가 금속이었는지 석재였는지, 혹은 그 외의 재료이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하지만 불교 전래 당시의 상황으로 보아 중국에서 처음 전래한 불상은 운반이 용이한 소규모의 금동불이었을 것이므로, 한국에서도 금동에서도 금동으로 제작하기 시작하였을 것

참고문헌
원영춘 외 1명 - 초기 불상전래의 남방 루트에 대한 연구, 미술사연구회, 1996
유지선 - 불상이미지를 통한 예술적 표현연구, 동국대학교, 2010
진홍섭 - 한국의 불상, 일지사, 1987
진철문 - 현대적인 한국불상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1984
최완수 -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1, 대원사, 2002
최선일 - 조선후기 조각승과 불상 연구, 경인문화사, 201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