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30일 수요일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의미, 종류,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연혁, 인식차이,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텍스트수용,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이미지수용,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사이버공간 분석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의미, 종류,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연혁, 인식차이,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텍스트수용,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이미지수용,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사이버공간 분석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의미, 종류,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연혁, 인식차이,.hwp


목차
Ⅰ. 개요

Ⅱ.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의미

Ⅲ.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종류
1. 동화적 반응
2. 투사적 반응
3. 상상적 반응
4. 조감적 반응
5. 참여적 반응

Ⅳ.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연혁

Ⅴ.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인식차이

Ⅵ.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텍스트수용

Ⅶ.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이미지수용

Ⅷ.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사이버공간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독자반응 이론(reader-response theory)’은 우리나라에서 독자반응 비평, 독자지향 이론, 독자중심 이론, 수용 미학, 수용 이론 등의 명칭과 혼용되어, 각 이론의 한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히 구분하자면, 수용 이론이나 수용 미학은 독일에서 주로 야우스나 이저 등의 독일 이론가들 사이에서 출발한 이론으로, 독자반응 이론(또는 독자반응 비평)은 영미를 중심으로 등장한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두 이론은 Iser를 제외하고는 서로 어떠한 접촉도 없었고 서로 영향을 끼치지도 않았다(Benton, 1993). 여기서는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이론적 출발이 되는 미국의 독자반응 이론에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미국의 독자반응 비평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체상을 정의하기 어려운데, 특히 두 가지 측면에서 그렇다. 하나는, 순수 문학 비평의 경계 밖에 있는 중요한 이론가들이 많다는 점이다(Benton, 1993). 예를 들어, Harding이나 Rosenblatt은 주로 학습 독자들의 문학 경험을 논한 교육적 색채가 강한 비평가들이지만 이들 또한 독자반응 이론가들로 분류되고 있다. 또 한 가지 독자반응 비평의 전체상을 뚜렷이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는, 독일의 수용 이론과 영미의 독자반응 비평 사이의 관계가 혼동되고 있다는 점이다(Benton, 1993). 미국의 독자반응 비평과 독일의 수용 이론은 독자를 중요시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지만, 차이점도 존재한다. 미국의 독자반응 비평은 통일된 입장을 가지고 일정한 계열을 타고 진행된 이론이라기보다는, 피차 영향이나 접촉이 없는 일단의 비평가들에게 사후적으로 붙여진 명칭이기 때문에 비평가들이 어떤 공통적인 비평 운동에 참여하고 있지도 않고 방법적인 면에서도 계통과 상황이 제각기 다르다(정진숙, 1992). 이에 비해 수용 이론은 보다 더 결속력이 있으며 의식적이고 집단적인 면이 강하다.

Ⅱ.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의미

독자가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은 세계를 더욱 깊게 이해하고자 하는 것인데 독자는 백지 상태에서 작품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과 체험을 바탕으로 이를 받아들인다. 그래서 독자는 작품 해석의 주체로 자신의 경험 세계를 확장하고 수정해 나가게 되며, 이를 통해 작품의 의미 또한 새롭게 생성하는 것이다(송지현, 2003).

본문내용
)과 사이버공간 분석
Ⅰ. 개요
Ⅱ.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의미
Ⅲ.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종류
1. 동화적 반응
2. 투사적 반응
3. 상상적 반응
4. 조감적 반응
5. 참여적 반응
Ⅳ.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연혁
Ⅴ.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인식차이
Ⅵ.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텍스트수용
Ⅶ.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이미지수용
Ⅷ.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과 사이버공간
참고문헌
Ⅰ. 개요
‘독자반응 이론(reader-response theory)’은 우리나라에서 독자반응 비평, 독자지향 이론, 독자중심 이론, 수용 미학, 수용 이론 등의 명칭과 혼용되어, 각 이론의 한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히 구분하자면, 수용 이론이나 수용 미학은 독일에서 주로 야우스나 이저

참고문헌
- 김동남(2001), 초등학교 저학년 동시 지도 실태 조사 : 독자반응이론의 수용 실태를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 김재숙(2002), 독자반응이론에 의한 동시지도가 유아의 동시감상 및 짓기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 송인영(2003), 독자반응이론에 따른 학습자 중심 역사수업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 이경수(2011), 청소년 독자의 읽기 효능감과 독자 반응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 이지희(2009), 독자반응비평이론을 활용한 소설교육 방안 고찰, 경희대학교
- 이혜경(1988), 독자반응 이론에 있어서의 독자와 독서, 강릉원주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