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필요성, 문화운동,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 영상운동, 다랑쉬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 방향,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 한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필요성, 문화운동,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hwp |
|
목차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필요성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문화운동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영상운동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다랑쉬굴 1. 경찰과 행정기관의 󰡐다랑쉬굴 사건󰡑역사 왜곡 2. 다랑쉬굴 유해 발굴 그 후 10년
Ⅵ. 향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방향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한계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1960년 4ㆍ19혁명은 한국전쟁과 이승만 반공독재체제하에서 도민들이 국가에 대하여 가졌던 공포감, 불만을 한꺼번에 분출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4ㆍ19가 일어나자 10여 년간 입을 굳게 다물었던 제주 4ㆍ3사건 피해유족들은 거리낌 없이 자신들의 경험을 털어놓았다.
1960년 5월 23일 국회 차원에서 거창ㆍ함양 등지의 양민학살사건에 관한 조사단이 구성되자, 제주 출신 국회의원들의 발의로 제주 4ㆍ3사건의 진상도 조사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움직임과 함께 제주대학 학생 7인은 ‘제주 4ㆍ3사건진상규명동지회’를 결성, 자체 조사에 나섰고, 모슬포 지역 주민들은 진상조사 촉구 결의대회를 개최하였다. 국회는 제주출신 국회의원의 문제제기와 제주도민의 요구를 수렴, 경남반(경남지역 조사반)의 조사지역을 확대하여 6월 6일 하루 동안 제주 4ㆍ3사건의 진상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정이 내려진 날짜는 5월 30일로서, 당시 제주도민들에게 주어진 조사 기간은 일주일 밖에 되지 않았다. 당시 제주신보사는 6월 2일자 사고(社告)를 내고 ‘제주 4ㆍ3사건 사건 및 6ㆍ25당시 양민학살 진상규명 신고서’를 접수하여, 국회조사단에 제출하기 위한 준비에 나섰다. 한편 제주시의회는 6월 3일 ‘제주 4ㆍ3사건 등 양민학살 진상조사단’을 구성하고 제주시내를 7개 구역으로 나눠 조사에 나섰다. 또한 ‘제주 4ㆍ3사건진상규명동지회’는 도보로 일주도로변 50개 마을을 일주하여 조사하였다.
6월 6일 도의회 의사당에서 열렸던 국회조사단의 증언 청취 자리에서 10년 동안 한을 품어온 학살양민 유족들은 처음으로 말문을 열었다. 이들은 한결같이 학살 당시의 불법성과 잔인성을 폭로하고 희생자들의 억울함을 호소하였다. 당시 속기록에 나타난 증인들의 발언 내용은 묻혀왔던 제주 4ㆍ3사건의 진실을 처음으로 세상에 알렸다는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학살의 ‘불법성’에 대한 유족들의 지적, 양제박 도지사의 ‘특별법 처리’ 발언, 민주당 조일제 조사위원의 ‘가해자 조사’ 발언 등은 당시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른 도민사회와 정치권의 분위기를 짐작하게 하는 대목들이다.
또한 이 시기 제주 4ㆍ3사건의 증언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사실은 제주신보의 학살진상 신고 접수 결과였다. 6월 10일까지 연기하여 접수 마감된 학살 건수는 총 1,259통, 인명 피해는 총 1,457명에 달하였다. 물론 이 숫자는 90년대 도의회 제주 4ㆍ3사건특위에서 조사한 숫자의 10분의 1 정도밖에 안되는 불완전한 것이지만, 열흘에 불과한 기간에 이만큼 신고 되
본문내용 향,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한계 분석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필요성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문화운동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영상운동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다랑쉬굴 1. 경찰과 행정기관의 다랑쉬굴 사건역사 왜곡 2. 다랑쉬굴 유해 발굴 그 후 10년 Ⅵ. 향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방향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상규명의 한계 Ⅷ.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1960년 4ㆍ19혁명은 한국전쟁과 이승만 반공독재체제하에서 도민들이 국가에 대하여 가졌던 공포감, 불만을 한꺼번에 분출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4ㆍ19가 일어나자 10여
참고문헌 김유경(2011), 제주43생존자의 트라우마와 미술치료적 접근, 영남대학교 부봉하(2006), 제주 43사건이 남긴 상처, 제주특별자치도 신복룡(2002), 제주 43 사건, 제주대학교평화연구소 양봉철(2008), 제주43과 ‘서북대대’, 제주4.3연구소 허상수(2000), 제주43사건해법 : 피해보상, 서울지방변호사회 한광덕(2005), 제주 43사건은 대한민국 건국 저지투쟁이었다, 자유민주민족회의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