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29일 화요일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적 의미, 인식,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특별법, 초토화작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해병대사령부작전, 미국개입,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음악운동 분석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적 의미, 인식,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특별법, 초토화작전,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해병대사령부작전, 미국개입,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음악운동 분석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적 의미, 인식,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특별법,.hwp


목차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적 의미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인식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특별법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토화작전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해병대사령부작전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미국개입
1. 4․3 발발과 국방경비대 최초의 토벌작전(1948.4.27 ~ 5.1)
2. 브라운 대령의 4․3 진압책(1948년 5월 중순 ~ 6. 30)
3. 민간인 대량학살과 주한미군사고문단의 활동(1948.8.15 이후)

Ⅷ.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음악운동
1. 1980년대의 노래
2. 1990년대의 음악
3. 2000년 이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제주도 4,3사건은 미군정하에서 도민과 경찰이 충돌한 사건이며 관의 압정에 견디다 못한 민이 최후에 들고 일어난 민중폭동이었다는 점은, 많은 학자의 연구를 통해서도 증명된 사실이고, 또한 정부도 지난날의 과오를 인정해 4,3사건 피해자와 유가족들을 위한 특별법을 국회에서 통과시킨 것을 볼 때에서 전적으로 부인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그 당시 기록만을 보더라도 4,3사건 전 과정을 통해 사망한 군인119명, 경찰 122명임에 반하여 제주도 주민은 1만 5천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희생자수에 심각한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다. 그것은 우월한 물리력을 바탕으로 한 어느 일방에 의한 대량학살이었음을 말해준다. 또한 주한미군 사령부의 ‘제주도 사건 종합보고서’를 보더라도 앞에서 말한 사실을 증명해주고 있다.
당시 상황을 초기에 파악하고 현명하게 처리하였다면 극소수의 인명피해로 단시일 내에 해결될 수 있었던 단순한 사건임에 틀림없다.




≪ 중 략 ≫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적 의미

제주 4․3 사건 초기 국면의 역사적 의미와 이와 관련한 쟁점은 무엇인가? 이 시기에 대해 본 논문이 구성하고자 하는 담론은 공산폭동론과 북한의 친북항쟁론이 아닌 억압과 단선․단정에 반대한 자발적인 민중항쟁론이다.
“탄압이면 항쟁이다”는 억압에 대해 도민들이 자발적으로 저항했음을 보여주는 구호이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1947년으로 넘어가면서 미군정의 실정과 밀수품 단속을 빙자한 군정경찰의 부정부패 행위는 도민들의 민심을 자극하고 있었고, 끝내 ‘3․1 발포사건’과 ‘3․10 관민총파업’이 발생했다.

본문내용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음악운동 분석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적 의미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인식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특별법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초토화작전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해병대사령부작전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미국개입
1. 43 발발과 국방경비대 최초의 토벌작전(1948.4.27 ~ 5.1)
2. 브라운 대령의 43 진압책(1948년 5월 중순 ~ 6. 30)
3. 민간인 대량학살과 주한미군사고문단의 활동(1948.8.15 이후)
Ⅷ.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음악운동
1. 1980년대의 노래
2. 1990년대의 음악
3. 2000년 이후
Ⅸ. 결

참고문헌
▷ 권귀숙(2001), 제주 4 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회
▷ 권귀숙(2003), 제주 43의 기억들과 변화, 제주4.3연구소
▷ 양정심(2006), 제주 43투쟁 연구, 성균관대학교
▷ 임재홍 외 1명(2003), 제주43특별법의 개정 필요성과 그 방향,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지영임(2007), 제주 43관련 위령의례의 변화와 종교적 의미, 한국종교학회
▷ 허호준(2007), 제주43 전개과정에서의 510선거의 의미,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