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 3항쟁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개념, 주체,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이데올로기, 교과서,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미군진압, 5 10단독선거,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언론보도 분석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개념, 주체,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이데올로기, 교과서,.hwp |
|
목차 Ⅰ. 서론
Ⅱ.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개념
Ⅲ.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주체
Ⅳ.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이데올로기
Ⅴ.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교과서
Ⅵ.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미군진압
Ⅶ.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5 10단독선거
Ⅷ.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언론보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1949년 1월 21일 국무회의에서 ‘발근색원’ ‘가혹한 방법으로 탄압’ 등의 극단적인 표현을 쓰며 제주도 소요 진압을 지시한 이승만은 10여일 뒤인 2월 2일 굿펠로우 대령에게 “제주도에 대규모 경찰과 군 응원대를 파견해 공산 테러리스트들을 조만간 체포할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굿펠로우의 서한에 대한 답신 성격의 이 서한을 통해 미국에 있던 굿펠로우, 더 나아가 미국의 제주도 사태에 대한 관심을 알 수 있다. 주한미사절단 에버레트 드럼라이트(Everett F. Drumright)는 3월 10일 로버츠 준장에게 제주도 상황과 관련해 “제주도가 상당히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으며,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 서한을 보냈다. 이에 대해 로버츠는 회신을 보내 “한국 대통령과 국무총리에게 제주도의 게릴라와 군사작전 등에 대해 강력한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이는 제주도 사태의 진압에 대한 미국의 개입을 보여주는 것이다. 고문관에게 매우 협조적인 사령관 유재흥 대령은 월터 하버러(Walter J. Haberer) 중령의 자문을 받아들이면서 작전을 수행했다. 이승만이 제주도 소탕작전을 강화한 가운데 무초는 4월 4일 이승만을 만나 “한국은 제주도와 전라남도에 만연하는 게릴라 도당을 제거하고 보안군을 훈련시킴으로써 남한에서의 입장을 굳건히 해야 한다”고 격려하며 제주도 진압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미국은 남한 공산주의 세력을 제거함으로써 남한의 안보를 위태롭게 하지 않으면서 6월 30일로 예정된 주한미군의 철수가 끝난 뒤에도 남한에 공산주의 방벽을 세우겠다는 계획이었다. 무장대에 대한 막바지 소탕작전을 벌인 끝에 4월 9일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제주도를 방문한 이승만은 ‘게릴라에 대한 정열적이고 성공적인 진압’을 한 유재흥 대령과 경찰, 민간기관을 격려했다. 무초는 같은 날 국무장관에게 “제주도가 남한에 혼란을 퍼뜨리고 테러를 가하기 위한 소련의 주요 무대로 선택됐다는 것은 공산주의 라디오방송의 선전을 보면 분명해진다대한민국 후방지역의 그런 상황 속에서 이승만 대통령은 소요와 불안정을 제거하기 위한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소련 요원들이 큰 장애물 없이 제주도에 침투하고 있음이 분명하다”고 보고했다. 소련이 남한 테러의 전초기지로서 제주도를 채택했고, 소련 요원들이 어려움 없이 제주도에 침투하고 있다는 무초의 발언은 아시아에서 반공 보루를 세우려는 미국의 정책과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제주도에서 민간인들이 희생되더라도 토벌하지 않으면 안 될 대상으로 인식한 것이다. 제주도 현지 미고문관들조차도 외부세력의 침입 증거를 본 적이 없다고 밝히는 상황에서 당시 한국에 체류한
본문내용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언론보도 분석 Ⅰ. 서론 Ⅱ.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개념 Ⅲ.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주체 Ⅳ.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이데올로기 Ⅴ.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교과서 Ⅵ.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미군진압 Ⅶ.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5 10단독선거 Ⅷ.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언론보도 Ⅸ.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1949년 1월 21일 국무회의에서 ‘발근색원’ ‘가혹한 방법으로 탄압’ 등의 극단적인 표현을 쓰며 제주도 소요 진압을 지시한 이승만은 10여일 뒤인 2월 2일 굿펠로우 대령에게 “제주도에 대규모 경찰과 군 응원대를 파견해 공산 테러리스트들을 조만간 체포할 것”이라는 내용의 서한
참고문헌 김순태, 제주 43민중항쟁 당시의 계엄에 관한 고찰, 민주주의법학연구회, 1998 김창후, 43 항쟁, 그 진실과 현실,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2003 양한권, 제주 “4.3민중항쟁”의성격에 관한 일 연구, 서강대학교, 1988 양정심, 제주4.3항쟁의 기억투쟁, 수선사학회, 2006 양정심, 4.3항쟁과 남로당 제주도당, 수선사학회, 2007 이성우, 국가폭력에 대한 기억투쟁: 5,18과 4,3 비교연구,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1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