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정의, 사고형성,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프로젝트학습, 고급사고력,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적 사고,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모델 분석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정의, 사고형성,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프로젝트학습,.hwp |
|
목차 Ⅰ. 서론
Ⅱ.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정의
Ⅲ.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사고형성
Ⅳ.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프로젝트학습 1. 프로젝트 학습 2. 다중지능 이론
Ⅴ.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고급사고력 1. 지식(knowledge) 2. 이해력(comprehension) 3. 적용력(application) 4. 분석력(analysis) 5. 종합력(synthesis) 6. 평가력(evaluation)
Ⅵ.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상위인지적 사고
Ⅶ.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상위인지적 지식
Ⅷ.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상위인지모델 1. 메타인지 개념을 인지적 개념으로 규정 2. 메타인지 개념을 두 가지 관점으로 분류 3. 인지적 모니터링을 메타인지 개념의 핵심 성분으로 규정 4. 메타인지 개념 모델을 구성하는 하나의 성분으로 간주 5. 각 성분간의 상호작용을 고려 6. 수학 문제해결과 수학적 개념 학습-지도에서의 메타인지 개념의 구체화 작업을 시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많은 사람들이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한 배경과 그 특성, 그리고 지식기반사회의 핵심이 되는 지식의 유형과 특성에 대해 언급하고 이에 대비한 각 분야별 대응전략과 방법에 대한 폭 넓은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도 교육부, 정보통신부, 노동부 등과 같은 정부기관단체와 한국개발연구원, 교육개발원, 직업능력개발원 등과 같은 산하 연구원에서도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는 교육 분야의 대응전략과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연구와 개발노력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정보화 사회라는 짧은 과도기를 지나 지식사회, 지식정보화 사회, 지식 창조화 사회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워지고, 정보화 사회 다음 사회의 변화상에 대한 논의의 핵심은 정보와 지식의 차이점에 기인한다. 폭증하는 정보를 취사.선택.편집.가공하여 자기분야에 필요한 지식으로 전환,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지의 여부, 즉 학습을 통한 지식창출력이 지식기반사회의 핵심 관건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주변에 산재해있는 정보보다는 정보를 자신의 독창적인 관점과 시각에 입각하여 정보 활용주체의 강한 문제의식과 활용의도, 그리고 창조적 상상력과 지적 고뇌가 반영될 때 비로소 정보는 모종의 가치를 지닌 지식으로 탄생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다시 말해서 이제는 정보를 얼마나 많이 보유하고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자신의 활용목적에 맞게 번안.가공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경쟁력의 관건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지식의 반감기가 급감(急減)하면서 이와 동반하여 지식의 유효기간 , 즉 지식의 생성과 소멸주기도 놀라울 정도의 빠른 속도로 현격하게 감축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중요한 단서를 찾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정보의 배증(倍增) 속도가 빨라지면서 폭증하는 정보를 필요한 지식으로 전환하는 능력이 확보되지 않고서는 아무리 많은 정보를 소유한다고 해도 특정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함으로써 자기만의 고유한 지식으로 창출할 수 있는 학습력이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 정보의 과다소유는 오히려 정보 불안을 비롯하여 정보로 인한 폐해가 심각한 문제로 등장한다는 사실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Ⅱ.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정의
‘메타(meta)는 원래 ’after, beyond, among, behind의 의미를 가진 접두사로 ‘meta-analysis, meta-phrase, metaphor등의 여러 어휘에 사용된다. 인지심리학 등에서 ’메타인지(meta-cognition)의 개념이 도입되고, 국내에서는 이를 ‘초인지’, ‘상위인지’ 등으로 번역해서 ‘메타(meta)를 ’메타‘라는 말 외에 ’초(超)-‘, 또는 ’상위-‘로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문내용 인지(메타인지, 초인지)모델 분석 Ⅰ. 서론 Ⅱ.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정의 Ⅲ.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의 사고형성 Ⅳ.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프로젝트학습 1. 프로젝트 학습 2. 다중지능 이론 Ⅴ.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고급사고력 1. 지식(knowledge) 2. 이해력(comprehension) 3. 적용력(application) 4. 분석력(analysis) 5. 종합력(synthesis) 6. 평가력(evaluation) Ⅵ.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상위인지적 사고 Ⅶ.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상위인지적 지식 Ⅷ. 상위인지(메타인지, 초인지)와 상위인지모델 1. 메타인지 개념을 인지적 개념으로 규정 2. 메타인지 개념을 두 가지 관점으로 분류 3. 인지
참고문헌 박기현 외 1명, 자기조절학습에서 메타인지의 기능에 관한 고찰, 충북대학교, 2007 박영초, 수학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습성격유형과 메타인지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2011 박혜진 외 1명, 메타인지, 몰입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2010 안수경, 협동학습유형, 작동기억, 메타인지 수준이 학업성취도, 인지공유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2008 윤주영, 사회과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2007 이재신, 메타인지 전략 훈련이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충북대학교, 2008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