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주체, 배경,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발발, 전개과정,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진압,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미군정대응,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 사건진상보고서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주체, 배경,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발발, 전개과정,.hwp |
|
목차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주체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발발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전개과정 1. 제주도의 특수성(역사적 전통과 상황적 맥락) 2. 해방이후 제주도 상황 3. 제주 3.1평화항쟁(1947년 3월 1일) 4. 제주 4.3항쟁의 전개과정 5. 4.3항쟁을 바라보는 시각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진압 1. 1949년 6월부터 12월 28일까지(진압부대 : 제2연대, 독립1대대, 경찰, 선무공작대, 민관군 혼성부대) 2. 1949년 12월부터 1952년 10월 13일까지(진압부대 : 해병대사령부, 계엄사령부,경찰, 청년특공대(민간토벌단체)) 3. 1952년 10월 13일부터 1953년 5월까지(진압부대 : 제 100전투 경찰사령부, 무지개부대(특수유격부대))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미군정대응
Ⅷ.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사건진상보고서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도민들은 도내 20여 개의 경찰지서 가운데 10여개를 공격하였다. 민간인 무장대는 거의 모두가 농민, 부녀자, 노인, 어린이 등 일반 민간인들로 구성돼 있었고 일부가 일본군이 버리고 간 99식 소총이나 농기구 등으로 무장, 나머지는 거의 비무장 상태였다. 그리고 도내의 좌파 지도자들이 그들을 지도하였다. 제주도의 미군정은 봉기가 발발하자 즉시 1700여명의 경찰을 급파하였고 군대와 서북청년단(극우단체 중 하나, 북한 피난민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다수의 깡패가 포함되어 있었다.)을 파견 또는 증파하였다. 유혈사태가 발생하고 충돌이 격렬해지자 미군정과 민중무장대는 평화적 수습에 합의하고 전투행위를 중단하였다. 그러나 군정 경찰은 이 합의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귀순자들을 향해 무차별 발포를 함으로써 제주도는 다시 불길에 휩싸이게 되었다.
≪ 중 략 ≫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주체
1948년 4월 3일 무장봉기로 본격화된 제주도민중항쟁을 살핌에 있어 소박한 수준이지만 당시의 직업구성을 중심으로 행위주체가 어떻게 조직으로 구성되었는가를 살펴보자.
여기에는 항쟁의 주체들뿐만 아니라 이를 공격하는 진압세력의 조직형태도 추적해 본다.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통치는 농업에 치중되어 있는 제주도의 사회․경제구조를 조금씩 변화시키기 시작한다. 즉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의 비율이 줄어들면서 상공업 및 공무자유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그 결과 이전보다는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분화된 직업구조를 보이기 시작한다라고 한다.
본문내용 )의 미군정대응,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사건진상보고서 분석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주체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배경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발발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전개과정 1. 제주도의 특수성(역사적 전통과 상황적 맥락) 2. 해방이후 제주도 상황 3. 제주 3.1평화항쟁(1947년 3월 1일) 4. 제주 4.3항쟁의 전개과정 5. 4.3항쟁을 바라보는 시각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진압 1. 1949년 6월부터 12월 28일까지(진압부대 : 제2연대, 독립1대대, 경찰, 선무공작대, 민관군 혼성부대) 2. 1949년 12월부터 1952년 10월 13일까지(진압부대 : 해병대사령부, 계엄사령
참고문헌 강창일, 뒤틀린 한국현대사와 제주43사건, 효원사학회, 2003 권귀숙, 대량학살의 사회심리 :제주 43사건의 학살 과정, 한국사회학회, 2002 박영기, 구술 자료를 활용한 역사 수업 방안 : 제주 43 사건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10 부봉하, 제주 43사건이 남긴 상처, 제주특별자치도, 2006 오윤석, 제주 43사건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4 정석균, 제주 43사건의 진상, 국방부, 2000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