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의 제기 2. 󰡔구운몽󰡕에 대한 불교적 이해의 정당성 3. 사념 실현으로서의 환생-성진에서 양소유로 4. 환생 극복으로서의 사념 실현-양소유에서 성진으로 5. 깨달음을 위한 서사적 장치 6. 결 론 참고문헌
본문 1. 문제의 제기
환몽소설이나 몽유록이라 지칭되는 작품들은 ‘현실-꿈-현실’이라는 액자구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액자구조는 동아시아 서사문학에서 아주 두드러진 서사방식 중의 하나이면서 우리나라 서사문학사에서도 그 전통이 면면히 계승되어왔다. 구운몽 도 그 서사전통에서 가능했던 작품이다. 그런데 구운몽 의 핵심 구성 항목이라 할 ‘성진→양소유’, ‘양소유→성진’의 단계는 단지 ‘입몽’과 ‘각몽’으로 단순하게 파악되어서는 안될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구운몽 의 소설적 가치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그런 점을 잘 살펴야 할 것이다. 구운몽 에서는 입몽과 각몽보다는 사념(思念)1)의 실현이라는 맥과 환생(幻生)이라는 또 다른 맥이 공존하고 있다. 즉, 마음 속 사념의 힘은 엄청난 위력을 가진 것이기에 결국 그대로 된다는 것을 보여주면서도 사람이 환생하는 양상도 보여준다. 본고는 이 두 맥이 전개되는 양상을 근간으로 하여 구운몽 이 활용하는 다양한 서사적 장치들의 특징을 밝히고 그것의 불교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한다.
<중 략>
양소유의 세계를 소상하게 서술한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구운몽 은 세속의 욕망으로부터 아직 자유롭지 못한 한 수행승으로 하여금 세속의 욕망을 경험하게 만들어줌으로써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세속의 경험은 깨달음의 원동력과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소중하다. 작자는 육관대사의 마지막 법문을 통하여 불교사상을 진술하는 쪽보다는 작품 전체의 서술 과정에서 독특한 서사적 장치를 활용하여 등장인물들의 경험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그것이 거듭 성찰되게 함으로써 깨달음의 세계를 이끌어내었다고 하겠다. 세속의 애욕 경험을 통하여 깨달음의 세계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조신몽 과 구운몽 은 서사문학사의 맥락에서 긴밀하게 이어져 있다. ‘꿈’이 사념과 윤회로 치환되었다는 것, 등장인물이 늘어나고 그들이 겪는 현실 경험이 더욱 다채로워졌다는 것, 작품의 서술구조가 불교철학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 등은 조신몽 에서 구운몽 으로 나아가면서 우리 소설사가 이룩한 비약이라 할 수 있다.
본문내용 서사문학에서 아주 두드러진 서사방식 중의 하나이면서 우리나라 서사문학사에서도 그 전통이 면면히 계승되어왔다. 구운몽도 그 서사전통에서 가능했던 작품이다. 그런데 구운몽의 핵심 구성 항목이라 할 ‘성진→양소유’, ‘양소유→성진’의 단계는 단지 ‘입몽’과 ‘각몽’으로 단순하게 파악되어서는 안될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구운몽의 소설적 가치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그런 점을 잘 살펴야 할 것이다. 구운몽에서는 입몽과 각몽보다는 사념(思念) 사념(思念)은 마음 속으로 간절히 생각하고 염원하는 것이다. 사념한 바대로 일이 이루어지는 것을 ‘사념의 실현’이라 명명한다. 사념이란 말은 가춘운이 정경패의 말을 양소유에게 전하는 부분에 나온다. ‘상서의 사념이 과도하고 비애가 예를 넘을 정도면 그것은 군명을 모욕하는 것
참고문헌 각묵 스님(2001), 금강경 역해, 불광출판부. 구나라뜨나(1980), 우리는 어떤 과정을 통하여 다시 태어나는가, 고요한 소리. 김병국(1983), <구운몽>, 그 연구사적 개관과 비판, 김만중연구, 새문사. 김병국(2001),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 출판부. 김병국최재남정운채(1992), 서포년보, 서울대 출판부 대림각묵 스님(2002), 아비담마 길라잡이 상. 하. 변상섭(2000), 선 신비주의인가 철학인가, 컬처라인. 붓다다짜(2000), 명상의 열매, 고요한 소리. 비구 보디 엮음(1983), 보시, 고요한 소리. 사재동 편(2000), 서포문학의 새로운 탐구, 중앙인문사. 서암 스님 시자(2003), 소리없는 소리, 十月. 석진오 평역(1988), 금강경 연구, 고려원.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2002), 死後生, 대화출판사. 신재홍(1994), 한국몽유소설연구, 계명문화사. 오형근(1985), 불교의 영혼과 윤회관, 불교사상사. 유병환(1998), 구운몽의 불교사상과 소설미학, 국학자료원. 유병환(2000), 구운몽의 사상적 실상, 서포문학의 새로운 탐구, 중앙인문사. 이강옥(1997), 구운몽과 육미당기에 나타난 세속적 삶의 두 모습과 그것의 극복 방식, 고전문학연구 별집 6 국문학과 불교, 한국고전문학회. 이강옥(2001), 삼국유사의 세계관과 서술미학, 국문학연구 제5호, 국문학회. 이주영(2003), 구운몽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문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발표문. 장효현(1993), <구운몽>의 주제와 그 수용사에 관한 연구, 김만중문학 연구, 국학자료원. 정규복(1981), 구운몽 원전의 연구, 일지사. 정규복(1984), 구운몽 연구, 고려대 출판부 정규복외(1993), 김만중문학연구, 국학자료원 조동일(1983), 구운몽과 금강경, 무엇이 문제인가, 김만중연구, 새문사.
하고 싶은 말 <구운몽>에 나타난 환생과 思念實現의 의미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