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향가 형식향가 개념향가 성격향가 역사향가 명칭향가 문법향가 내용향가의 형식, 향가의 개념, 향가의 성격, 향가의 역사, 향가의 명칭, 향가의 문법, 향가의 내용 분석(향가, 향가 형식)
향가의 형식, 향가의 개념, 향가의 성격, 향가의 역사, 향가의 명칭, 향가의 문법,.hwp |
|
목차 Ⅰ. 향가의 형식 1. 4구체 2. 8구체 3. 10구체
Ⅱ. 향가의 개념
Ⅲ. 향가의 성격
Ⅳ. 향가의 역사
Ⅴ. 향가의 명칭
Ⅵ. 향가의 문법
Ⅶ. 향가의 내용
참고문헌
본문 Ⅰ. 향가의 형식
향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로서 4구체, 8구체, 10구체의 형식을 가지며 연은 구분하지 않는다. 이 중 10구체는 향가의 최종 완성형이라는 것이 일반적 견해다. 조윤제는 향가(10구체)의 형식적 특성을 언급하면서, 8구까지 주요 내용이 마무리되고 남은 2구에서 앞의 주의(主意)를 반복 강조하는 전/후절의 구조를 가지며 10구체 형식의 묘미는 바로 결사인 후구에 있다고 하였다. 그 이유로, 후구가 전구의 여운적 역할을 하여 노래를 한층 은근하고 끈기 있는 정조를 담아내게 한다고 하였다. 그러면 향가의 각 형식상의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자.
1. 4구체
4 줄로 된 향가이다. 민요가 두 줄, 네 줄로 된 것이 많으며 황조가, 구지가 등 상고시가 또한 4줄의 형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직 민요로부터 분화되지 않은 향가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민요와는 달리 그 작자가 비교적 분명하며 개인 서정시가 적 측면이 강하다. 작품으로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등이 전한다.
2. 8구체
8줄로 된 향가이다. 현전 작품 2편만 가지고는 성급하게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여러 사정을 생각할 때 이 8구체 형식은 10구체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형식이라고 추측된다. 따라서 그 형식의 존속 기간도 그리 길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4구의 배수로 된 8구체로부터 향가의 창작 정신은 민요적 차원에서 완전히 벗어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작품으로 <모죽지랑가>, <처용가> 등이 전한다.
3. 10구체
10줄로 된 향가이다. 향가의 최종 완성 형태로 통일 신라 시대를 전후하여 등장했다. 결사의 첫 구(9번째 줄의 첫 구)는 항상 아으 등의 감탄사를 동반하는데 이 점은 <시조> 종장 첫 3글자의 형식적 원형을 제공했다. <보현십원가> 11수를 제외하면 총 8수가 전한다. 작품으로 <안민가>, <우적가>, <원가>(결사인 9/10구가 망실되었음), <원왕생가>,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천수대비가>, <혜성가>, <보현십원가> - 서(序)와 본가 10수를 합하여 11수 등이 전한다.
본문내용
Ⅲ. 향가의 성격 Ⅳ. 향가의 역사 Ⅴ. 향가의 명칭 Ⅵ. 향가의 문법 Ⅶ. 향가의 내용 참고문헌 Ⅰ. 향가의 형식 향가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로서 4구체, 8구체, 10구체의 형식을 가지며 연은 구분하지 않는다. 이 중 10구체는 향가의 최종 완성형이라는 것이 일반적 견해다. 조윤제는 향가(10구체)의 형식적 특성을 언급하면서, 8구까지 주요 내용이 마무리되고 남은 2구에서 앞의 주의(主意)를 반복 강조하는 전/후절의 구조를 가지며 10구체 형식의 묘미는 바로 결사인 후구에 있다고 하였다. 그 이유로, 후구가 전구의 여운적 역할을 하여 노래를 한층 은근하고 끈기 있는 정조를 담아내게 한다고 하였다. 그러면 향가의 각 형식상의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자. 1. 4구체 4 줄로 된 향가이다. 민요가 두 줄,
참고문헌 ▷ 김완진(2003), 홍기문의 향가해석 한국어연구 1, 한국어연구회 ▷ 김사엽(1991), 향가의 문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 박애경(2008), 정토신앙 공동체와 향가, 연세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 최철(1990),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 최철(1990),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 함복희(2008), 향가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우리문학회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