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중심과 이론학습이론사회학습이론통찰학습이론정보처리이론인지중심과 학습이론, 인지중심과 사회학습이론, 인지중심과 통찰학습이론, 인지중심과 정보처리이론, 인지중심과 행동주의 학습이론 비교
인지중심과 학습이론, 인지중심과 사회학습이론, 인지중심과 통찰학습이론, 인지중심과.hwp |
|
목차 Ⅰ. 서론
Ⅱ. 인지중심과 학습이론
Ⅲ. 인지중심과 사회학습이론
Ⅳ. 인지중심과 통찰학습이론 1. 쾰러의 첫째 실험 2. 쾰러의 둘째 실험 3. 결론 1) 문제는 경험적 사실을 재구성 하는 인지구조의 변환가정 2) 통찰은 탐색적인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짐 3) 통찰은 실험장면에 의해 좌우 4) 통찰에 의한 학습은 과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
Ⅴ. 인지중심과 정보처리이론 1. 감각기억 1) 지각 2) 주의집중 2. 단기기억과 작동기억 1) 감각기억에서 주의집중을 받아 넘어온 정보가 20 -30초 정도 지속되는 곳 2) 인지전략을 통해 정보를 의미단위(묶음)로 만들 경우 3) 단기기억은 지금 이 순간 생각하고 있는 것이어서 작동기억이라고도 함 4) 부호화 5) 암송 3. 장기기억 1) 일상기억 2) 의미기억 3) 인출
Ⅵ. 인지중심과 행동주의 학습이론 비교 1.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의 공통점 2.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의 차이점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학습동기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분야에서 탐구되어 왔다. 기술적 연구, 측정 연구가 그 것이다. 첫째, 기술적 연구는 학습동기의 의미론적 접근과 관련 변인간의 관계규명 연구이다. 학습 동기란 무엇이며, 어떤 종류가 있으며, 그들은 어떤 구조를 갖는가. 학습동기를 설명하는 이론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학습 동기는 어떤 성격을 갖는가, 그리고 학습동기와 다른 인간특성, 환경특성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일컫는다. 여기에서 연구자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져온 부문은 학습동기와 다른 변인들 간의 관계규명(특히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이다. 이 분야의 연구자들은 주로 심리학이나 교육심리학 교재의 저자들과 실증적인 연구자들이다. 특히, 각 대학의 교육대학원 학위논문들이 이 문제를 탐구하였다.
≪ 중 략 ≫
Ⅱ. 인지중심과 학습이론
인지중심(인지주의 학습이론)의 학습이론에 관해서 논하기에 앞서서 학습에 의미에 대해서 살펴야 할 것이다. 학습의 의미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는 이론적인 관점에 따라서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비교적 많이 인용되는 학습에 대한 정의의 하나가 경험에 의해 일어나는 비교적 지속적인 행동 변화로 볼 수 있다. 이 정의를 살펴보면 우선 학습은 성숙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경험에 의해 일어나는 변화라고 볼 수 있다. 키가 크다든가, 체중이 증가하는 것과 같은 변화는 주로 유전적인 성숙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변화는 학습으로 간주할 수 없다.
본문내용 인지중심과 사회학습이론 Ⅳ. 인지중심과 통찰학습이론 1. 쾰러의 첫째 실험 2. 쾰러의 둘째 실험 3. 결론 1) 문제는 경험적 사실을 재구성 하는 인지구조의 변환가정 2) 통찰은 탐색적인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짐 3) 통찰은 실험장면에 의해 좌우 4) 통찰에 의한 학습은 과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 Ⅴ. 인지중심과 정보처리이론 1. 감각기억 1) 지각 2) 주의집중 2. 단기기억과 작동기억 1) 감각기억에서 주의집중을 받아 넘어온 정보가 20 -30초 정도 지속되는 곳 2) 인지전략을 통해 정보를 의미단위(묶음)로 만들 경우 3) 단기기억은 지금 이 순간 생각하고 있는 것이어서 작동기억이라고도 함 4) 부호화 5) 암송 3. 장기기억 1) 일상기억 2) 의미기억 3) 인출 Ⅵ. 인지중심과 행동주의 학습이론 비교
참고문헌 - 김근수(2011), 웹디자인 레이아웃에서 곡선 활용에 관한 연구 : 사용자 인지중심으로, 경남대학교 - 김헌수(2006), 상위인지 중심 치료에 관한 이론적 탐색, 한국진로상담학회 - 사에키 유타카 저, 김남주 외 1명 역(2010), 인지과학 혁명, 에이콘출판 - 이정모, 강은주 외 3명 저(2009), 인지심리학, 학지사 - 이종은(1998), 의사소통과 인지 중심의 한국어 문법 교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임재욱(2011), 상위인지 중심 소설 읽기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