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촌사족시조.hwp |
목차 Ⅰ. 서론 ⅰ) 서울의 경화사족과 향촌사족의 문화적 격차 ⅱ) 사족 계층의 변화와 시조 창작층의 분화 ⅲ) 향촌사족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 Ⅱ. 본론 - 향촌사족의 유형 및 작품세계 ⅰ) 유교적 삶 실천 - 이휘일, 박인로 ⅱ) 풍류적 성격 - 김득연, 장복겸 ⅲ) 비탄적 성격 - 정훈 Ⅲ. 결론 본문 Ⅰ.서론 ⅰ)서울의 경화사족과 향촌사족의 문화적 격차 서울이 대도시로 발달함에 따라 서울과 향촌간의 사회적 분기는 심화 되었고, 이는 경(京) 향(鄕)간의 문화적 격차를 야기했다. 즉, 서울과 향촌이라는 지역적 개념은 더 이상 지역적 개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문화적 층위로서의 개념이 추가된 것이다. 이에 따라 그 내연이 확장됨으로써 서울과 향촌의 문화적 활동에도 일정한 편차를 드러내게 된 것이다. 사대부 계층의 대표적인 문화적 활동인 시조의 창작과 향유 역시 이 시기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경 향간의 차이를 확연히 보이며 전개 되었다. 서울의 경화사족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우월한 지위를 점했다. 그들의 풍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서울의 유흥적인 분위기를 주도하면서 새로운 취미나 풍류생활의 한 방편으로 시조를 수용 했다. 이에 비해 향촌사족은 조선전기와 달리 중앙정계로 진출하는 길이 극히 제한되었고, 서울의 새로운 문화적 변화를 접하고 수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향촌사족은 경화사족의 감각적이고 유흥적인 시조를 수용하기 보다는 사대부시조가 가진 전대의 이념적 전통을 고수하고 계승하면서 향촌사회 내에서 무너져가는 사족으로서의 정체성과 향촌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시조를 창작했다. 이러한 사실에 유의하여 향촌에서 대부분의 삶을 보낸 사족들의 시조창작과 향유양상을 살피고, 이전시기의 시조 및 서울에 거주하는 사족들과의 차이를 규명하여 향촌사족들의 시조의 특성과 시조사 전체에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이상원, <17세기 시조사의 구도>, 월인, 2000 김용찬, <조선 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월인, 2007 조태흠, 「이정보 시조에 나타난 도시 시정의 풍류」, 한국문학논총, 제 38집, 2004 설인경, 「18세기 향촌 사족의 시조 연구」, 부산대학교, 2010 노하중,「金得硏 時調 硏究」,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육민수, 「김득연 문학작품의 특성」, 반교어문학회, 2004 수능언어만점쏘마(http://cafe.naver.com/ssomassoma/4417) 네이버 지식사전 키워드 향촌사족시조, 시조, 향촌, 사족 |
2017년 5월 1일 월요일
향촌사족시조
향촌사족시조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