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30일 화요일

거시경제학 일본의 장기불황

거시경제학 일본의 장기불황
[거시경제학] 일본의 장기불황.pptx


목차
일본 장기불황의 역사

일본의 디플레이션

일본 장기불황의 주요 원인

일본 정부의 실패한 정책과 원리
제로금리 정책
양적완화 정책



본문
엔화가 고정 환율에서 벗어난 1970년대 초반 이후 엔화환율은 가끔
씩 큰 폭으로 절상되곤하였다. 1차, 2차, 3차 엔高 기간이 있었다.
플라자 합의를 전후한 3차 엔高 기간에는 엔화 절상 폭이 이례적으로 컸으며 그런 만큼 일본기업에게는 과거의 엔高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다란 타격으로 다가와 일본기업들의 자체적 노력으로 완벽하게 흡수하기에는 충격이 컸다. 이 기
간 동안 일본의 순 수출 규모가 크게 축소된 것이다.

기업: 기업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채무부담이 커지자 자금난을 앓는다. 기업은 부채 상환에 급해 신규설비투자를 하지 않고 인력 고용이 계속 부진하여 경제의 공급능력을 크게 위축시켜 수익성이 떨어지게 된다. 일본 기업들은 온정적인 고용문화를 버리고 불완전 고용을 늘리면서 국민은 보장되지 않는 소득에 불안감을 느껴 더욱 소비를 하지 않게 된다. 결국 내수가 침체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만다.

실업률이
급등하면서 소득전망에 대한 불안감으로 민간 소비는 더욱 둔화되었다.
기업들은 기존대출을 회수 당할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불안감으로 차입
을 통한 신규투자 확대보다는 채무상환을 우선시하는 방어위주의 전략
을 택하였다. 또한, 디플레이션은 기업과 금융기관에 산적해 있던 부채
의 실질부담을 증가시킴으로써 구조조정을 어렵게 했을 뿐 아니라, 디
플레이션 기대심리로 내구재의 구입이 미루어져 경기회복에도 방해가 되었다.



키워드
거시경제학, 장기불황, 경제학, 불황, 일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