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향 생애와 작품 분석.hwp |
목차 Ⅰ. 작가 나도향 Ⅱ. 벙어리 삼룡이 Ⅲ. 물레방아 Ⅳ. 뽕 Ⅴ. 참고 문헌 본문 Ⅰ. 작가 나도향 1. 성장배경 - 본명: 나경손, 필명: 나빈, 호: 도향 - 성장배경: 한의사 조부 아래에서 문학에 관한 꿈을 접게 됨 - 경성제국대학 의대에 입학하지만 문학공부를 위해 와세다대학으로 도일 - 조부의 지원이 끊겨, 다시 고국으로 귀국 2. 문학의 토대 - 배재학당의 「협성회보」 교지편집 활동을 통해 습작 시작 - <백조>동인 활동을 통해 본격적인 문학활동 시작 - 이상화, 현진건, 홍사용, 박영희, 박종화 등과 함께 함 - 1921년~1926년까지 치열한 문학에 대한 열정을 보임 3. 작품 경향 - 초기 (1922~) : <환희>가 대표작으로, <젊은이의 시절>,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 <옛날 꿈은 창백하더이다>와 같은 감상적이고 플롯이 느슨하고 작가의 과도한 개입(telling)이 드러나는 작품이 다수 - 과도기 (1923~) : <십칠원 오십전>, <행랑자식>, <여이발사>, <자기를 찾기 전>, <전차차장의 일기 몇절>, <계집하인> 등의 작품으로 초기에 비해 인물 외양과 행동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는 작품이 늘어나는 경향, 보여주기 기법(showing)이 강화 특히 <행랑자식>은 낭만적 감상에서 벗어난 전환점적인 작품 어떤 날 춥고 바람많이 불던 겨울밤이었다. 박교장의 집 행랑에서 글 읽는 소리가 나더니 꺼져가는 촛불처럼 차츰차츰 소리가 가늘어 간다. 그러다가는 다시 옆에서 어린애 입에 젖꼭지를 물리고서 졸음 섞여 지르는 목소리로 '어서 읽어'하는 어머니의 소리에 다시 글소리는 굵어진다. 나이는 열두살, 보통학교 사학년 급에 다니는 진태라는 아이이니 그 박교장의 집 행랑 범의 아들이다. 왱왱 외던 글소리는 단 이분이 못되어 다시 사라졌다. 참고문헌 - 이태준, <도향 생각 몇 가지> 현대평론, 1927.9 - 윤홍로, <나도향 낭만과 현실의 변증>, 건국대학교출판부. 1997.3 - 이영아(가톨릭대학교 강사), <나도향 소설에 나타난 '참사랑'의 모색 과정 고찰>, 2006. -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 서설경, <신체결함자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의 연구 - 1920 ~ 30년대 소설인 벙어리 삼용이 을 중심으로>, 수련어문학회, 1986 - 안남연, <나도향 문학의 사실성과 낭만성 고찰 - 벙어리 삼룡이, 물레방아, 뽕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1 - 송준호, <현대문학 : 불 의 원형적 모티프 -「불」과 「벙어리 삼룡(三龍)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1991 - 김지연, <나도향 문학의 연애와 성의 양상 분석>, 건국대학교, 2009 - 김원희, <한국 단편소설 모두 연구: 1920년대 전반기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 주영준, <1920, 30년대 나타난 매춘 양상 분석>, 한남대학교, 2007 - 강영숙, <나도향의 후기작품연구>, 전주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 키워드 나도향, 작품, 분석, 생애 |
2017년 5월 1일 월요일
나도향 생애와 작품 분석
나도향 생애와 작품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