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고려가요의 현대적 재해석.hwp |
목차 <논문> 권수정, 고려가요 화자 연구: 이별의 노래를 중심으로 , 창원대 교육대학원, p.5-6, 2002 김동현, 남여상열 고려속가의 교육적 가치 연구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p. 22, 2006 김동현, 『남여상열 고려속가 교육의 가치 연구: 쌍화점을 중심으로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김쾌덕. 『고려 속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p. 188 각주, 2006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p.1, 1959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pp. 37-346, 1983 최동원, 1982, <高麗歌謠의 亭有階層과 그 性格>,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 새문사, p.108-109 최훈정, 청산별곡 연구 , 부경대학교 대학원, p.44-46, 2005 <학술잡지> 유경환, "정석가의 원형적 상징성", 「새국어교육」, 통권 66호 (2003.12) 본문 Ⅰ. 서론 고려가요는 우리의 선조들이 남겨주신 인간의 진솔한 감정을 매우 아름답게 표현한 문학의 한 장르이다. 신라 향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형성된 문학으로 그 특유의 생명력과 고려가요가 담고 있는 진솔한 감정들로 인해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연구 되어 지고 있다. 고려가요는 대체로 서민들에 의해 쓰인 서민문학이기 때문에 당대 서민들의 감정이 사실적으로 녹아있다. 인간의 가장 보편적인 감정을 바탕으로 하여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받고 있으며 또한 그렇기에 어느 한 계층의 문학이라 하지 않는다. 현재 기록으로 전해지고 있는 고려가요의 작품 수는 많지 않다. 고려가요는 국문으로 정착되어 전해지는 것과 한역을 통하여 그 대략의 내용이 전해지는 것이 있고, 또 가사부전가요를 통해서도 전해지고 있다. 국문으로 정착되어 전해지는 것은 악학궤범(樂學軌範)에서 동동 이하 4편, 악장가사(樂章歌詞)에서 정석가 이하 9편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서 유구곡 이하 8편 한역본 몇 수와 고려사 악지의 노래명만 전할뿐 가사를 알 수 없는 노래 몇 수 가 있을 뿐이다.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알 수 있는 고려가요의 문학적 실상과 지금 현대에 우리들에게 더 가깝고 친숙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다양한 방면으로 각색 변화 되고 있는 고려가요의 후대적 수용에 대해 연구해 보도록 한다. 참고문헌 <논문> 권수정, 고려가요 화자 연구: 이별의 노래를 중심으로 , 창원대 교육대학원, p.5-6, 2002 김동현, 남여상열 고려속가의 교육적 가치 연구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p. 22, 2006 김동현, 『남여상열 고려속가 교육의 가치 연구: 쌍화점을 중심으로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김쾌덕. 『고려 속가의 연구』, 국학자료원, p. 188 각주, 2006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p.1, 1959 조윤제, 『한국문학사』, 탐구당, pp. 37-346, 1983 최동원, 1982, <高麗歌謠의 亭有階層과 그 性格>,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 새문사, p.108-109 최훈정, 청산별곡 연구 , 부경대학교 대학원, p.44-46, 2005 <학술잡지> 유경환, "정석가의 원형적 상징성", 「새국어교육」, 통권 66호 (2003.12) 키워드 고려가요, 고전문학, 재해석, 논문, 학술잡지 |
2017년 5월 28일 일요일
고전문학 고려가요의 현대적 재해석
고전문학 고려가요의 현대적 재해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