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디지털위성방송의 개념 Ⅲ. 디지털위성방송의 도입 Ⅳ. 디지털위성방송의 기술 1. 영상 압축기술 2. 양자화와 Multiplexing 3. 오류정정부호화 4. 변조(modulation) Ⅴ. 디지털위성방송의 프로그램수급 Ⅵ. 디지털위성방송의 수신기 1. 무료방송 수신기 1) F1/F1-5000 2) F1-FOX 3) F1-ACE 4) F1-CI/CI-5100 5) FTV-5600 2. 유료방송 수신기 1) VA-5200/VA-FOX 2) VACI-5300 3) IR-5410 4) IRCI-5400 5) CR-5510 6) CRCI-5500 7) NACI-5700 3. 방송사 납품 수신기 1) VDS-3300 2) VACI-5350 Ⅶ. 디지털위성방송의 대응전략 1. 케이블TV와의 관계 2. 방송채널사용사업자와의 관계 3. 법, 제도적인 환경 개선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미디어와 방송의 미래는 디지털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방송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디지털화를 통해 아날로그 방식보다 대폭적으로 늘어난 채널을 전송할 수 있게 되어 주파수 부족 시대를 종식시켰기 때문이다. 디지털화가 가져온 방송의 산업화와 국제화는 규제에 의한 보호와 국내 완결 체제라는 지금의 방송 시스템 전체를 크게 바꾸어 놓고 있다. 방송법, 디지털 위성방송의 출범, 디지털 케이블 TV 추진, 채널사업의 자유화, 해외 채널의 국내 진출 등 크고 작은 사안들이 불과 1-2년 사이에 일어난 일들이다. '디지털'이란 말에는 미래, 낙관적인 전망 등의 함의가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디지털화의 결과가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런 문제 중의 하나가 미디어 집중이다. 중소 미디어 기업들의 소멸을 초래하고 소수의 멀티미디어 기업에 의해 주도된다. 더욱이 채널과 프로그램의 양적인 증가가 반드시 콘텐츠나 제공자의 다양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디지털 방송의(디지털 위성방송, 디지털 케이블 TV, 디지털 지상파방송) 등장으로 인한 채널과 프로그램이 획기적으로 증가하지만, 프로그램 제공자의 수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채널들도 인기 장르에 편중되는 현상도 나타난다. ≪ 중 략 ≫ Ⅱ. 디지털위성방송의 개념 -적도상공의 정지궤도위성을 통해 방송프로그램을 디지털신호로 전송, 이를 시청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새로운 개념의 방송방식 -기존의 공중파 케이블 TV에서 볼 수 없었던 고화질 고음질의 다채널 방송과 쌍방향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게임 등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획기적 서비스를 제공 참고문헌 김명중(1997) / 디지털 시대의 위성방송론, 나남 김성재(2009) / 디지털 위성방송을 위한 신 개념 위성수신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광순(2004) / 디지털위성방송의 초기수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이종윤(2001) / 한국디지털위성방송의 정책에 관한 연구 : 채널구성 프로그램 편성 및 프로그램 수급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정용준(1997) / 세계의 디지털 위성방송, 커뮤니케이션북스 하주용(2005) / 디지털 위성방송과 케이블텔레비전의 경쟁분석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키워드 디지털위성방송, 위성방송, 디지털방송, 수신기, 미디어, 디지털위성방송의 대응전략 |
2017년 2월 25일 토요일
디지털위성방송프로그램수급수신기디지털위성방송의 개념, 디지털위성방송의 도입, 디지털위성방송의 기술, 디지털위성방송의 프로그램수급, 디지털위성방송의 수신기, 디지털위성방송의 대응전략 분석
디지털위성방송프로그램수급수신기디지털위성방송의 개념, 디지털위성방송의 도입, 디지털위성방송의 기술, 디지털위성방송의 프로그램수급, 디지털위성방송의 수신기, 디지털위성방송의 대응전략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