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7일 월요일

일본시민일본시민 윤리관형성일본시민 자발성일본시민과 시민단결일본시민과 공민교육시민단결공민교육일본시민의 윤리관형성, 일본시민의 자발성, 일본시민과 시민단결, 일본시민과 공민교육 분석

일본시민일본시민 윤리관형성일본시민 자발성일본시민과 시민단결일본시민과 공민교육시민단결공민교육일본시민의 윤리관형성, 일본시민의 자발성, 일본시민과 시민단결, 일본시민과 공민교육 분석
일본시민의 윤리관형성, 일본시민의 자발성, 일본시민과 시민단결, 일본시민과 공민교육 분석.hwp


목차
Ⅰ. 개요

Ⅱ. 일본시민의 윤리관형성
1. 인과 예의 덕
2. 성선설과 성악설
3. 노장사상과 무위자연

Ⅲ. 일본시민의 자발성

Ⅳ. 일본시민과 시민단결
1. 젊은 인력을 정착시키기 위한 시책
2. 오오아 무선을 심벌로

Ⅴ. 일본시민과 공민교육
1. 외적 환경요인
2. 공민교육
1) 공민교육의 운영체제와 주체
2) 교육의 대상
3) 교육의 방향과 내용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시민사회가 무엇인가의 문제는 국가와 시민사회, 시장과 시민사회의 관계 속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근대 초기 사회계약론까지 소급될 수 있지만, 지난 세기에 들어와 맑스적 전통과 토크빌적 전통으로 나뉘어 활발히 전개되어 왔다(Ehrenberg, 1999). 맑스적 전통이 시민사회에 내재된 계급적, 헤게모니적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면, 토크빌적 전통은 자발적 결사체와 시민적 습속이 근대 민주주의의 한 지반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우선 맑스적 전통을 살펴보면, 시민사회에 대한 다양한 개념 정의가 존재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난 세기 맑스적 시민사회론을 부활시킨 그람시와 하버마스를 보면, 그람시에게 시민사회가 헤게모니를 둘러싸고 계급지배 및 갈등이 전개되는 정치 세력들의 관계이자 시민들의 문화생활이 이루어지는 사적인 활동공간을 뜻한다면(Gramsci, 1971), 하버마스에게 시민사회는 체계(국가와 경제체계)에 대응하는 생활세계의 하위 영역으로서의 사적 영역을 지칭한다(Habermas, 1981).




≪ 중 략 ≫




Ⅱ. 일본시민의 윤리관형성

1. 인과 예의 덕

공자의 가르침의 중심에는 仁과 禮의 덕이 있다. 인이라고 하는 것은,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한마디로 말하자면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이다. 그 기초에는 부모와 자녀간의 애정(효)와 형제간의 애정(제)라고 하는 혈연간의 사랑이 있다.

참고문헌
ⅰ. 김영래, 일본 시민사회와 뉴 거버넌스 연구, 한국동북아학회, 2006
ⅱ. 민현정, 일본 시민사회 성장과 공공성 재편 논의,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09
ⅲ. 이경호, 일본의 민주시민교육,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2007
ⅳ. 조규철, 일본 시민사회의 변화, 한국비영리학회, 2003
ⅴ. 정미애, 글로벌화와 일본의 시민사회, 한국국제정치학회, 2002
ⅵ. 최은봉 외 1명, 일본 시민사회와 인도주의의 두 가지 유형, 현대일본학회, 2010

키워드
일본시민, 윤리관형성, 자발성, 시민단결, 공민교육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