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시대의 불상, 백제시대의 불상, 신라시대의 불상, 삼국시대의 불상, 고려시대의 불상 분석.hwp |
목차 Ⅰ. 고구려시대의 불상 Ⅱ. 백제시대의 불상 1. 한성기 양식으로써 그 예가 바로 신리출토 금동불좌상이 아닐까한다 2. 웅진기는 중국양과의 외교관계를 통하여 불교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 문화를 꽃피웠을 뿐더러 이러한 발전된 문화를 일본에 전파(513년과 516년 등)하기도 하였다 3. 사비기는 다시 세분하여 제3기로 나눌 수 있다 Ⅲ. 신라시대의 불상 Ⅳ. 삼국시대의 불상 Ⅴ. 고려시대의 불상 참고문헌 본문 Ⅰ. 고구려시대의 불상 삼국중 불교를 가장 수용한 나라는 고구려이다. 고구려는 일찍부터 대륙을 접하고 있었기 때문에 불교의 수용과정에 있어서 별다른 마찰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고구려의 불교조각은 상당한 수준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불교전래 이전의 고분의 벽화나 고구려의 문화수준을 고려해볼 때 불교조각에 있어서 역시 고구려의 문화역량은 상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아쉽게도 오늘날 남아 있는 고구려의 불교조각은 너무도 그 수효가 적어 고구려 불교조각의 진면목을 알기에는 너무도 부족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고구려가 수나라와 당나라 등 외세와의 많은 전쟁을 치른 것을 고려해볼 때 전란의 혼란속에서 많은 불교조각들이 파괴되었을 것이라는 것은 미뤄 짐작이 간다. 고구려에 불교가 전래된 것은 372년. 즉 4세기말경부터는 중국에서 불상들이 전래되기 시작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상들이 고구려 불상의 모델이 됐을 것이다. 그러나 5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고구려 불상은 아쉽게도 없다. 석불의 경우 고구려의 석불로 주목되는 것은 <청원 비중리 삼존석불 >과 충북 제원 출토 <납석제 병립상>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상은 수인과 법의의 고졸한 모습, 강한 선각 등으로 볼 때 고구려의 불상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석탑의 경우 고구려의 석탑은 전하는 것이 전혀 없다. 다만 <삼국유사>에 보이는 <요동성 육왕탑>에 관한 기록과 <고려 영탑사> 의 석탑 조성 기록이 눈에 띌 뿐이다. <요동성 육왕탑조>에는 \ 기목탑칠중\ 이라하여 7층목탑을 연상 시키는 구절이 있으며 <고려 영탑사조>에는 \ 팔면7급석탑\ 이라는 구절이 있는 것으로 보아 8각 7층석탑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고구려에서 다층의 목탑과 석탑들이 조성됐었으며 8각면을 지닌 석탑도 존재했었음을 나타내 주는 보여준다. 참고문헌 * 김명식(1982), 불상조각을 중심으로 한 신라미술의 고찰, 중앙대학교 * 김이나(1988), 삼국시대 불상연구의 제문제, 미술사연구회 * 오소진(2011), 백제 불상의 미적 특성, 고려대학교 * 오혜경(1998), 고려시대 불상의 불두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 연구, 조선대학교 * 전용환(1995), 고려시대 불상조각의 연구 : 석불상의 불두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 정영호 외 2명(2001), 고구려불상조각의 특성 연구, 고구려발해학회 키워드 고구려시대, 불상, 백제시대, 신라시대, 삼국시대 |
2017년 2월 27일 월요일
불상고구려시대 불상백제시대 불상신라시대 불상삼국시대 불상고려시대 불상고구려백재신라고구려시대의 불상, 백제시대의 불상, 신라시대의 불상, 삼국시대의 불상, 고려시대의 불상 분석
불상고구려시대 불상백제시대 불상신라시대 불상삼국시대 불상고려시대 불상고구려백재신라고구려시대의 불상, 백제시대의 불상, 신라시대의 불상, 삼국시대의 불상, 고려시대의 불상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