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6일 일요일

일본민화우키요에일본민화(우키요에) 특징일본민화(우키요에) 유래와 역사일본민화(우키요에)의 특징, 일본민화(우키요에)의 유래와 역사, 일본민화(우키요에)의 한일비교, 일본민화(우키요에)의 영향 분석

일본민화우키요에일본민화(우키요에) 특징일본민화(우키요에) 유래와 역사일본민화(우키요에)의 특징, 일본민화(우키요에)의 유래와 역사, 일본민화(우키요에)의 한일비교, 일본민화(우키요에)의 영향 분석
일본민화(우키요에)의 특징, 일본민화(우키요에)의 유래와 역사, 일본민화(우키요에)의.hwp


목차
Ⅰ. 서론

Ⅱ. 일본민화(우키요에)의 특징

Ⅲ. 일본민화(우키요에)의 유래와 역사

Ⅳ. 일본민화(우키요에)의 한일비교

Ⅴ. 일본민화(우키요에)의 영향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막부(幕府)말기에서 명치(明治)후기에 이르는 일본의 도화과(圖畵科 : 미술과)의 역사는, 주로 구미 여러 나라의 미술교육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이었다. 특히 최초의 50년간, 서양회화를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은, 외국의 미술교육 그 자체를 그대로 수용해서 이입한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초기에는 '미술'이라는 개념이 거의 일본에 없었으므로 그것을 학교교육에 도입하기 위한 교육제도, 전문미술교육기관의 정비가, 결과적으로 소학교(초등학교)미술교육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연필화(鉛筆畵)시대(1850년대-1887)와 모필화(毛筆畵)시대(1888-1901)가 존재한다. 전자는 서양화적인 내용을 의미하며 후자는 일본화적인 내용을 의미하는데, 연필화에서 모필화라고 하는 두 가지의 미술교육내용 사이에, 당시의 가치관의 변화와 이입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연필화시대에 있어서는, 막부말기의 안정(安定)3년(1856)에 설립하여 다음해 문을 연 번서조소(蕃書調所, 開成所)에서의 서양화연구와 교육, 명치초기의 소수(川上寬, 高橋由一 등)의 개인 아뜨리에(畵塾)활동 등이 특기할만한 사항이라 하겠다. 또한 명치 5년(1872)에는 일본 최초의 근대학교제도에 관한 법령인 '학제(學制)'가 공포되고, 국민모두에게 학문의 이념을 설명하는 '대정관포고(大政官布告)' '피앙출서(被仰出書)'가 발표되었다. 학제에서는 상등소학교(上等小學校)에 도화(圖畵)과의 전신이라고 할만한 '기하학괘화대의'(幾何學罫畵大意)가 설치되는데 이는 곧 '괘화'(罫畵, 당시의 교과명)로 개명된다. 동시에 상등중학교에는 화학(畵學)이, 상등중학교에는 '괘화'(罫畵)가 설치된다. 일례로, 제 6급(6학년)의 '괘화'는 일주일에 2시간이었는데, 당시 남교(南校, 현재의 문부성)가 출판한 괘화본(罫畵本)을 사용해서 점선정형(點線正形)의 종류 등을 그렸다.(井上正作: 2000, 145)

참고문헌
고바야시 다다시 외 1명(2004), 우키요에의 미 : 일본미술의 혼, 이다미디어
서진환(1996), 일본 민화 속의 이류혼인담 연구, 부산여자대학
손정숙(1994), 한국 민화와 일본 대진화의 비교 연구 : 대진화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이행화(2009), 우키요에(浮世繪)에 나타난 고소데(小袖)의 조형적 특성 연구, 경성대학교
양지나 외 1명(2009), 일본 우키요에에 나타난 이미지를 통한 의상디자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최경진(2009), 민화와 우키요에(浮世繪)에 관한 비교연구, 전남대학교

키워드
일본민화, 우키요에, 일본, 민화, 목판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