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1일 수요일

시조문학시조 정의시조 분류시조 형식시조 내용시조 명칭시조 발생시조 표현시조의 정의, 시조의 분류, 시조의 형식, 시조의 내용, 시조의 명칭, 시조의 발생, 시조의 표현 분석(시조, 문학)

시조문학시조 정의시조 분류시조 형식시조 내용시조 명칭시조 발생시조 표현시조의 정의, 시조의 분류, 시조의 형식, 시조의 내용, 시조의 명칭, 시조의 발생, 시조의 표현 분석(시조, 문학)
시조의 정의, 시조의 분류, 시조의 형식, 시조의 내용, 시조의 명칭,.hwp


목차
Ⅰ. 개요

Ⅱ. 시조의 정의

Ⅲ. 시조의 분류
1. 평시조
2. 엇시조
3. 사설시조
4. 연시조
5. 양장 시조
6. 단장 시조
7. 동시조

Ⅳ. 시조의 형식
1. 평시조
2. 엇시조
3. 사설시조

Ⅴ. 시조의 내용

Ⅵ. 시조의 명칭

Ⅶ. 시조의 발생

Ⅷ. 시조의 표현
1. 직유법
2. 은유법
3. 활유법
4. 기타
1) 도치법
2) 영탄법
3) 비교법
4) 반복법
5) 대조법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時調를 10구체 鄕歌에서 派生했다고 볼 때 8.10구체 鄕歌는 당시에 音樂的인 면만이 아니라 歌訶도 3중요시하던 지식층의 詩歌로 始發했으니 10구체 鄕歌와 時調가 같은 時機에 共存할 수는 있으나 시간상으로 斷絶될수는 없다.
어떤 이는 향가의 쇠퇴기를 고려초로 보고 時調의 발생기는 고려말로 보기도하나 그런 경우 고려중기에는 지식층에 있어 우리 시가가 일시 완전히 소멸될 수 있는 그런 때는 아니다.
혹시 향가에서 경기체가로 ,경기체가에서 시조로 지식층의 시가 명맥을 이어 보려고 할지 모르지만 경기체가는 궁정가악의 영향에서 이루어져 조선 초기까지는 궁정가요 이외에는 일반에게 일체 유행하지 못한 노래고 작자도 일부의 고관 이외에는 한사람도 없다.
따라서 경기체가를 중간에 투입시켜 歌謠 命脈을 이어보려고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엇시조와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가사와 창조가 單調로워서 스스로 그런 형식과 창이 요구되었다고 여겨지니 그 발생시기도 자영 평시조 이후로 보아야겠고 또 현대에 전하는 가사도 작자가 확실히 나타나 있는 것은 정철의 장진주사 外 1편이 가장 연대가 오래인 것이다.
따라서 선조 때에는 그것이 유행하고 있었다고 본다면 그 발생기는 조선 초기쯤으로 생각하는 것이 可合할것이다.

♣.초기작품에 대한 이해
*靑丘永言 : 영조 4년(1728) 김천택 시조 988수 가사 17수 고조별로 분류했으며 유명씨를 전번에 싣고 간단히 작자 소개를 함
*海東歌謠 : 영조 39년(1763) 김수장 유명씨 568수 무명씨315수 작가별로 분류, 자작시 117수를 포함, 영조 45년에 76수를 더 실어 증보함
*古今歌曲 : 영조 40년 송계연월옹 시조 294수 가사 11수 내용별로 분류 120여수가 3대 가집에 없는 것들임
*근화악부 : 정조 미상 시조394수 가사 7수 주제별로 분류
*병와가곡집 : 정조 이형상 시조 1109수 1956년에 발견된 시조집.1권 1책의 사본, 정조 때 이형상이 엮은 것으로 추정.
*가곡원류 : 고종 13(1876) 박효관, 안만영 시조 839수 가사17수 여창유취178수 곡조별 분류, 본명 해동악장. 청구악장
*화원악보 : 고종 미상 시조 650수 곡조별로 분류
*동가선 : 순조 백경현 시조 235수 작자 및 내용별로 분류
*남훈태평가 : 철종 14 미상 시조 224수 잡가 3수 가사 4수 순국문으로 표기됨 음악적 의도에서 종장 넷째 음보를 생략하였음

하여가와 단심가는 인조 때 만들어진 해동악부에 전하는 바에 의하면 고려 말에 국운이 기울어지자 정몽주와 전운양 등은 몸을 바쳐 보전하려고 하였으나 이성규의 세력이 날로 강해지므로 마침내 정몽주는 그를 제거하려는 계획을 품고 있었고 이성계는 은근히 역모를 꾀하게 되었다.
그때 이성계의 아들 방원이 연회를 베풀고 그 자리에서 슬그머니 하여가를 불러 정몽주의 뜻을 살피니 정몽주는 단심가로서 자신의 굳은 뜻을 표명했다는 이야기이다.
하여가와 단심가는 현전 시조집 중에서 가장 시조의 작자를 믿을 수 있는 김천택이 엮은 원본인 청구영언에도 작자가 이방원과 정몽주로 나타나 있어 비교적 믿음성이 있는 것이다.
조선초기의 시조라는 것도 태반 믿음성이 박약하다

참고문헌
◇ 김성수(2009), 시조의 재검토,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 금제현(1992), 시조문학론, 예전사
◇ 신웅순(1999), 시조의 정의 고,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원용문(1993), 시조 종류에 대한 논의, 한국시조학회
◇ 홍성란(2003), 사설시조의 형식과 미적 특성, 성균관대학교성균어문학회
◇ 한미영(2011),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지도 내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키워드
시조, 문학, 국문학, 사설시조, 평시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