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6일 일요일

일본문화인식일본문화인식과 인식변화일본문화인식과 문화적 우월주의대중문화청소년일본문화인식과 인식변화, 일본문화인식과 문화적 우월주의, 일본문화인식과 대중문화, 일본문화인식과 청소년 분석

일본문화인식일본문화인식과 인식변화일본문화인식과 문화적 우월주의대중문화청소년일본문화인식과 인식변화, 일본문화인식과 문화적 우월주의, 일본문화인식과 대중문화, 일본문화인식과 청소년 분석
일본문화인식과 인식변화, 일본문화인식과 문화적 우월주의, 일본문화인식과.hwp


목차
Ⅰ. 개요

Ⅱ. 일본문화인식과 인식변화

Ⅲ. 일본문화인식과 문화적 우월주의

Ⅳ. 일본문화인식과 대중문화

Ⅴ. 일본문화인식과 청소년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국민적 정체성의 일상적 표현인 '우리나라 사람'은 과연 뭘 의미하는 것일까? '우리'는 실체인가? 그것은 남한 인구 전부의 공통적 이익을 발견할 수 없다면 존재할 수 없는 허구적 인식이다. 그러한 허구가 '우리'라고 하는 내면화된 집단적 상징에 의해 가려지고 관념적인 '우리'를 통하여 사람들은 실제로 자기이익을 규정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은 '우리' 혹은 '국민'과 무매개적으로 동일시된다. 그것은 따라서 매우 이데올로기적 개념이다. 물론 남한에서만 통용되는 화폐가 있고 남한의 국가가 '국민'들에게 요구하는 세금, 징병, 여권 발급과 법집행의 권리를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안에 살고 있는 '국민'은 다른 나라의 '국민'들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동질적인 이해관계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우리'라는 개념은 주변부 혹은 반주변부의 불평등한 체제하에서 혜택을 받는 계층이 중심부의 중심부와 이해관계를 다를 가능성, 계급적 주체간의 비동질성의 현실을 아예 거부하고 있다. '우리'는 권력과 자원의 불평등한 분배를 강제하는 매커니즘속에서 허구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항상 소수의 특권적 이익을 포장하는 이데올로기적 개념이거나 아니면 다수의 자의적 판단과 횡포를 정당화하는 도구다. '우리 국민' 문화 속에서 기만당한 다수는 소수에 저항할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을 박탈당하거나 혹은 다수는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소수의 권리와 존엄성을 짓밟아버리게 된다.

참고문헌
김용법(1996) : 일본대중문화의 유입실태조사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공성진(1995) : 한 중 일 문화인식과 동북아의 미래, 한국생산성본부
이창종(1996) : 본거선장의 일본우월주의와 언어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학회
이창현(2007) : 한류 전후, 한일 대학생의 상대방 미디어 수용 실태 및 사회문화인식 비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장용걸(2000) : 일본대중문화에 대한 차별성과 선정성 이미지에 관한 고찰, 비교민속학회지
황달기(2011) : 일본 대중문화의 개방과 한국인의 일본인식, 계명대학교산업경영연구소

키워드
일본문화인식, 인식, 일본, 문화적 우월주의, 대중문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