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의미,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분류,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의의, 한국.hwp |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의미 Ⅲ.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분류 1. 널뛰기 1) 준비물 2) 진행방법 3) 진행 후 효과 2. 굴렁쇠 1) 준비물 2) 진행방법 3) 진행 후 효과 3. 비석치기 1) 준비물 2) 진행방법 Ⅳ.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의의 1. 지적 발달의 기초 2. 신체적 능력 숙달 3. 자아개념, 사회성의 발달 촉진 4. 정서발달 5. 언어발달 촉진 6. 흥미와 주의집중 능력 신장 7. 학습 역동적 학습방법 8. 판단력 향상 9. 학교학습의 구체화 Ⅴ.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생활화 1. 전통놀이 시간 운영 1) 아침 자율활동 시간 2) 중간 자유놀이 시간 3) 점심 시간 4) 학급 종례 시간 5) 학급회 시간 2. 전통놀이 환경 구성 3. 전통놀이 경연 대회 실시 Ⅵ. 한국 전통민속놀이와 정신지체아교육 Ⅶ. 한국 전통민속놀이와 아동놀이 Ⅷ.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교육 사례 1. J학생의 적응행동 영역별 적용 전 후 비교 결과 2. J학생의 적응행동 영역별 결과 분석 1) 독립기능 2) 신체발달 3) 경제활동 4) 언어발달 5) 수와 시간 6) 직업전 활동 7) 자기관리 8) 책임 9) 사회화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Brammel(1993) 은 놀이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놀이는 내재적으로 보상받는 것이다. 놀이는 행동 자체에 목적이 있고 상대적으로 자기 충족성이 강한 행동이므로 놀이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행동과 동시에 또는 즉각적으로 보상이 따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사람에게는 일이 다른 사람에게는 놀이로 간주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호의적인 상태에서 생각할 수 있는 활동은 어느 것이나 그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놀이가 될 수 있다. 둘째, 자발성이다. 놀이가 자발적이라 하는 것은 놀이의 필수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개인에게 놀이를 강요하거나 강제로 시킬 수 없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놀이행동은 사람이 놀고 싶을 때를 사전에 인지하거나 계획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발성을 요구한다. 한편 놀이는 놀이를 하는 사람이 외부환경과 일상적인 생활규범의 규제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선택의 자유를 나타낸다. 생활관습이나 규범은 놀이를 하는 사람의 공상만으로도 놀이 속에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놀이자의 상상만으로 기존의 사회규범이나 규칙들이 단순화되기도 하고 복잡해지기도 한다. 셋째, 쾌락성이다. 놀이는 강압적인 것도 아니고 외압에 의해서 수행되는 행동도 아니기 때문에 쾌락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속성이 없다면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놀이를 하지 않을 것이다. 놀이는 선택된 활동에서 즉각적인 만족 때문에 즐거운 것이다. 놀이를 즐거움의 추구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넷째, 몰입성이다. 놀이행동이 이루어지려면 인간은 심리적으로 어느 정도 흥분이 되어야 하고 흥미를 가져야 한다. 놀이자가 놀이에 열중하고 있는 것은 놀이를 통하여 몰입감을 느껴 열정을 느끼기 때문이다. 다섯째, 자기 표현성이다. 사람들은 놀이로 자신들의 성격을 표현한다. 즉, 사람들이 놀이하는 과정을 관찰해 보면 사람들의 성격이 노출된다. 또한 놀이가 내면적인 자발성에 의한 행동이기에 내면세계의 상상이 놀이행동 속에 그대로 반영된다. 사람들은 주어진 일을 매우 똑같은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매우 통제된 상황에서도 사람들의 놀이행동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개성은 놀이를 통해서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기술이 몰개성화의 원인인 것 같은 시대에 놀이는 주목받아야 할 활동 중 하나로 여겨진다. 놀이가 어떠한 욕구동기를 갖고 있든지 또는 어떠한 사람이 놀이를 하든지 간에 자기 표현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섯째, 현실 도피적인 허구성이다. 놀이를 하고 있는 동안 놀이자는 물리적 세계나 사회적 규범 및 가치체계에 통제를 받지 않는다. 허구적인 놀이에서 놀이자는 자신이 생각하는 그 누구도 마음대로 될 수 있다. 놀이자가 놀이를 하는 동안에 현실세계는 물러나고 오히려 상상의 세계가 부각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만 / 아이들 민속놀이 백가지, 우리교육, 1993 김천년 / 한국민속놀이유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78 나동광 / 한국의 전통놀이에 대한 심리치료적 이해, 동국대학교사학회, 2011 심우성 / 한국의 민속놀이, 1990 최영란 외 1명 / 한국 전통놀이에 나타난 공동체성 연구, 목원대학교, 2000 한양명 / 한국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과 전망, 비교민속학회, 2009 키워드 전통민속놀이, 전통놀이, 민속놀이, 생활화, 정신지체아교육 |
2017년 2월 1일 수요일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의미,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분류,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의의, 한국 전통민속놀이 생활화, 한국 전통민속놀이와 정신지체아교육, 한국 전통민속놀이와 아동놀이, 한국전통민속놀이 교육사례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의미,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분류, 한국 전통민속놀이의 의의, 한국 전통민속놀이 생활화, 한국 전통민속놀이와 정신지체아교육, 한국 전통민속놀이와 아동놀이, 한국전통민속놀이 교육사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