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26일 목요일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
동아시아사 불교사상의 한국불교.pptx


목차
1.인도
2.중국
3.삼국시대 불교수용
4.신라
5.신라-중고
6.신라-중고시대 승려
7.고구려와 백제
8.무격적 신앙
9.통일신라
10.불교의 대중화
11.통일신라 승려
12.선종의 대두
13.고려
14.고려-신앙결사운동
15.조선-교단의 위축
16.근대


본문
전륜성왕설

기원전 3세기 4세기 경 마우리아 왕조가 출현하여 인도 대륙 통합
→ 전륜성왕설 등장

7종의 보寶를 가지고, 4종의 덕德을 갖추었으며, 무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정법으로 전 세계를 통치한다고 하는 신화적, 이상적 제왕

이에는 금륜 은륜 동륜 철륜왕의 네 왕이 있다. 일설에 의하면, 인간의 수명이 2만 세에 도달할 때에, 먼저 철륜왕이 출현하여 일(一)천하의 왕이 되고, 2만 년마다 동륜왕 은륜왕 금륜왕의 차례로 나타나므로, 8만 세에 달할 때에는 금륜왕이 나와 사방 천하를 다스린다고 한다.


왕주교종(王主敎從)

중국의 정치적 배경:
불교 유입 되기 이전에 이미 중앙집권국가


불교교단이 국왕권에 압도적으로 압도되어 왕즉불 출현

상대적으로 약한 왕권으로 불교교단의 주체성 강함

4세기를 전후하여 중국에서 변용된 인도불교 수용

4C 우리 사회는 씨족 공동체에서 초부족적인 중앙집권적 왕국으로 변화

무격신앙이나 조상숭배신앙을 대신하여 고등종교이자 철학인 불교가 전래되어 이들을 규합 ( 새로운 고대왕국의 정신적 기반을 마련)

국왕권이 신장되면서 정치가 종교에 대하여 우위를 점해갔지만 종교에 대한 국왕의 의존도 ↑

신라불교의 특징

위로부터 불교수용
가장 두드러지게 국가적 색채를 띰
→ 신라가 삼국 가운데 가장 문화수준이 낮고 국가의 성장이 제일 늦어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비로소 국가체제를 정비하고 왕권의 강화를 추진했기 때문
4c 이래 정복 사업을 통하여 늘어난 주민을 일원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보편적인 사상체계 필요



키워드
불교, 불교사상의, 한국불교, 사상의, 한국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