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27일 금요일

청소년 행복 연구

청소년 행복 연구
청소년 행복 연구.hwp


목차
목차
1.서론

Ⅱ.본론
1.행복의 과학적 연구 자료
(1) 행복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Diener 중심)
(2)「한국청소년행복지수 개발연구」- 김신영,백혜정, 2008(3)「한국 교육문화와 아동 청소년의 행복」- 이기범 2009
(4)「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연구와 국제비교」-박종일 외 3명 2010
2.우리 조의 청소년 행복 연구
(1) 우리가 세운 가설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Ⅲ.결론



본문
Ⅰ.서론

행복은 누구에게나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그런데 OECD국가의 행복지수를 비교한 연구를 보면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34개의 국가 중 32위에 해당하는 최하위 수준이고, 한국 청소년의 행복지수 또한, 삶에 만족하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53.9%만 그렇다고 대답하여 OECD국가 중 최하위를 차지하게 되는 불명예를 얻었다. 이와 관련하여 각종 매스컴에서는 한국의 입시경쟁 제도와 열악한 교육환경을 주원인으로 꼽으면서 한국 학생들이 얼마나 불행한 삶을 사는지 저마다 안타까운 시선으로 보도하고 있다.
그런데 행복지수를 측정함에 있어서, 각 개인과 각 문화마다 행복을 느끼는 상황과 정도에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모든 상황과 변수를 고려한 측정기준을 만드는 것은 어려우며, 따라서 최대한 객관적인 지표로 행복을 측정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실제를 온전히 담아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연구 결과만 보고 개인이나 집단의 행복지수를 상대적인 위치로 판별해내는 것은 위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조는 우선적으로 선행 연구 논문을 요약하여 제시함으로써 행복을 과학적으로 연구할 때 학자들은 어떤 방법으로 하는지, 즉 행복을 무엇이라고 정의하는지, 행복지수를 측정할 때 어떤 측정도구를 사용하는지 등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을 연구한 연구들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행복지수와 또한 이것을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 우리 조가 스스로 청소년 행복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직접 초 중 고 집단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그 가설을 검증해 보려고 한다.


본론1. 행복의 과학적 연구자료

(1) 행복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Diener 중심)
행복은 단순히 건강, 부, 명예, 육체적 안락 등과 같이 외적 조건으로만 정의할 수는 없으며(김혜원, 김명소, 2000; 차경호, 1999; Cambell, 1976), 행복에 대한 정의는 사람마다 각기 다르게 정의를 내릴 수 있는 주관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심리학자들은 개개인들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자신의 삶을 어떻게 평가하고, 이런 삶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측정함으로써 행복을 연구하기 시작했다(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에서 재인용).


키워드
행복, 청소년, 연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