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_완성.hwp |
목차 <차례> 1. 서론 2 1.1 연구 동기 2 1.2 홈스쿨링의 배경 2 1.3 홈스쿨링의 정의 및 구체적 대상 선정 3 1.4 홈스쿨링을 선택한 학생들의 어려움 4 2. 본론 4 2.1 연구 방법 4 2.2 분석결과 5 2.2.1 일상적 고민의 유형과 내용 5 2.2.2 정보의 부족과 관련된 고민의 유형과 내용 7 2.2.3 정보 빈곤의 원인 8 2.2.4 정보빈곤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정보서비스 정책과 실천방안 9 2.3 서비스 평가 15 3. 결론 및 제언 15 본문 1. 서론 1.1. 연구 동기 공교육 중심의 한국 사회에서 가장 소외받는 계층에는 학교를 중퇴하고 홈스쿨링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있다. 공교육 중심의 입시제도가 지배적인 상황에서 고교 중퇴자에 대한 이전의 부정적인 인식이 더해져 이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은 극히 미비했다. 홈스쿨링을 통해 부산대에 입학한 A양에 의하면 자신이 검정고시와 수능을 준비하던 2000~2002년까지 자신은 자신의 신분을 증명할 방법이 없다는 이유로 도서관을 이용할 수 없었다고 한다. 덧붙여 대학교에 입학한 02학년도에도 주민등록증이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공공도서관에서는 대출카드를 만들어 주지 않았다고 한다. 국가차원에서 중퇴 청소년들의 신분을 증명해 줄 수 있는 청소년증을 만든 것은 2004년으로 그 이전까지는 이들의 신분을 증명할 어떤 수단도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도서관을 비롯한 공적기관이 학교라는 공교육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주된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2008년 고교 내신등급제의 도입과 함께 홈스쿨링을 위해 자퇴를 선택하는 청소년들이 크게 늘었고 현재는 해마다 약 10만 명에 이르는 학생들이 학교를 그만두고 있다. 홈스쿨링을 하는 이러한 청소년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점과 이들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았을 때 평생교육을 지원하고 모든 시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야할 의무가 있는 공공도서관에서 이들을 지원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번 과제를 통해 홈스쿨링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이 어떤 고민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정보를 필요로 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그들의 삶에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조사해 보고, 더 나아가 도서관이 이들을 위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수 있는지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2. 홈스쿨링의 배경 1948년 공교육 제도가 출범된 이래로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학교는 부모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의무취학의 입법화로 인하여 저소득층 자녀들에게도 교육 받을 기회가 생겼고, 노동의 현장 가운데 있었던 아이들이 학교로 모이면서 공교육이 확대되었다. 이후 교육은 사회적으로 가장 민감한 부분으로 등장하였다. 하지만 교육에 대한 이러한 열망과 기대에 비해 공교육은 점차 그 중심을 잃어가고 '공교육 위기론'이 대두되며 사회 문제로까지 지적되고 있다. 지난 40여년 동안 한국의 교육은 양적으로 성장하였지만 질적으로는 수준이 낮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교육현실이 변화하는 사회에 발맞춰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러한 예로는 국가의 교육 독점으로 인한 강제적이고 획일적인 교육내용, 운영상의 관료주의적 풍토, 정치적 목적으로 인한 공교육의 변질 등 이 있다. 국가 주도의 교육은 교육을 체계화 시킨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청소년들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주입식 교육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교육방식으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학교 교육에 부적응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국가는 사회적으로 이러한 학생들의 자율적인 학습의 장 또한 마련하지 못한 상태였기에 그 결과 이 학생들은 사회적 낙오자, 문제아의 인식 하에 탈선의 여지 또한 분명한 사회적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하고 싶은 말 참고자료로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키워드 서비스 |
2016년 5월 1일 일요일
홈스쿨링 청소년을 위한정보서비스 방안
홈스쿨링 청소년을 위한정보서비스 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