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2일 수요일

복지국가와 가족정책의 관계(가족정책의 복지국가 유형)

복지국가와 가족정책의 관계(가족정책의 복지국가 유형)
복지국가와 가족정책의 관계(가족정책의 복지국가 유형).hwp


본문
복지국가와 가족정책의 관계(가족정책의 복지국가 유형)
목차
복지국가와 가족정책의 관계(가족정책의 복지국가 유형)
1. 자유주의 복지체제
2. 조합주의 복지체제
3. 사회민주주의 복지체제
* 참고문헌
복지국가와 가족정책의 관계(가족정책의 복지국가 유형)
복지국가와 가족정책의 관계에 대해 Esping-Anderson (1999)은 복지의 책임소재를 분석하였다. � �지의 책임이 가족에게 어느 정도 있는가, 이러한 책임과 시장과는 어떠한 관계에 놓여 있는가, 그리고 가족과 시장이 국가와는 어떠한 관계를 맺어 나가는가 등의 가족 관련 변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가족중심의 책임을 강조하는 가족주의(familism)와 가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탈가족주의(de-familization) 의 양측을 중심으로 서구국가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족 스스로의 책임과 가족의 기능을 강조하고, 가족의 책임수행이 어려울 때 국가가 개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가족주의 체제는 이탈리아나 독일이 포함된다. 이에 반하여 탈가족주의는 주로 북유럽 국가에게 나타나는데, 가족의 부양 및 자녀양육의 책임은 당연히 국가에게 있음을 인지하고 이러한 근거하에 가족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국가와 시장경제, 그리� � 가족 간의 관계에서 몇 가지 다른 유형을 발견하였다. 복지국가의 형태를 탈상품화(decommodification) 정도에 따라 자유주의 복지체제(liberal welfare state) 조합주의 복지체제(corporatist regime), 사회민주주의 복지체제(social democratic)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유주의 복지체제
자유주의 복지체제는 사회적 개혁이 전통적인 자유주의적 노동의식규범에 의하여 제약을 받으며, 급여대상은 곧 저소득층에 집중되며, 급여대상 자격기준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급여대상자에게 복지서비스가 혜택이라기보다는 사회적 낙인으로 남는다. 국가는 시장체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적 복지체계를 대신한다. 그리하여 노동의 탈상품화 효과를 최소화화고 다양한 사회계층을 유발시킨다. 복지수혜자들은 빈곤의 평등을 경험하지만, 시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복지혜택도 다르다. 이러한 체제에서는 전통적 가족의 기능과 역할이 강조되면서 가족이 복지의 일차적 책임을 진다. 가족의 책임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국가의 개입이 이루어지며, 그것도 최소한의 개입에 그치고자 한다. 이러한 형태는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볼 수 있다.

하고 싶은 말
주요개념을 요점/정리한 과제물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