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6일 일요일

청소년기 사회정서발달

청소년기 사회정서발달
청소년기 사회정서발달.hwp


본문
청소년기 사회정서발달
I. 정서의 발달
청소년기 정서 발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뚜렷한 원인이나 대상을 의식함이 없이 막연히 불안해하거나 깊은 감동에 빠진다. 둘째로 사소한 자극에 대해서 민감하게 강한 반응을 나타낸다. 즉 격노하거나 낄낄거리기도 하고, 사소한 원인에 의해서 자살까지도 시도한다. 셋째로 청소년의 감정은 극단에서 극단으로 심하게 동요되며 아주 상반된 대립적인 감정이 번갈아 나타나는 수가 많다. 이와 같은 격정성과 동요성이 강한 청소년기를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한다. 넷째로 정서 반응의 원인이 사라졌는데에도 불구하고 정서는 내면화하여 일종의 기분의 형태를 취하며 비교적 오랫동안 남는다. 다섯째로 정서가 솔직히 표현되지 않고 억압되거나 왜곡되는 수가 많다.
청소년기의 정서적 경향은 고민과 동경심 그리고 정조의 발달을 들 수가 있다. 고민은 청소년기의 정서 발달 중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고민의 계기가 되는 것은 불안, 고독, 열등감, 공허감 등이다.
청소년기의 불안은 확실하지 않은 대상을 막연하게 불안해하는 수가 많다. 청소년은 고독을 스스로 바라기도 하는 반면 고독을 두려워하기도 한다. 그러나 고독은 그 순간에 자아를 통찰하고 자기의 본질을 파악하여 독립한 인간으로서의 자아를 확립하는 � �� 있어서 중요한 체험인 것이다. 청소년기의 고독은 인생을 강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열등감이란 타인과 비교해서 부족하다고 느끼는 입장에서 위축되는 경향으로서 청소년의 고민은 열등감과 깊은 관계가 있다. 열등감을 느끼는 청소년이 보상에 대한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에는 병적인 열등감(Inferiority complex)에 빠지기 쉽다. 그러나 열등감이 재능, 용기, 사회적인 관심과 연결될 때에는 진보, 성공, 발전의 원인이 되는 수가 많다. 공허감은 자기의 이상과 현실 사이에 괴리 현상이 많다는 것을 느끼면 느낄수록 마음의 공허감, 특히 실존적인 공허감에 빠지는 수가 많다.
동경심은 청소년이 갖는 강한 정서이며, 또한 동시에 기본적인 기분이기도 하다. 동경의 대상은 인간, 자연, 문화 등 다양하다. 청소년이 품고 있는 이상은 현� �과 모순되는 수가 많다. 이를 메꾸기 위해서 권력, 아름다움, 정의 등을 동경하는 수가 많고, 이것이 진선미로 향할 때 청소년은 항상 발전하며, 물욕이나 권력에로 향할 때에는 타락하거나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
청소년기에는 고등 감정인 정조가 발달되어 일상생활을 적응해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조에는 지적 정조, 심미적 정조, 도덕적 정조가 있다. 지적인 정조는 밤 11시까지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다가 도서관을 나서면서 지적 성취에 만족하는 감정이나, 풀지 못했던 수학 문제를 풀었을 때의 지적 희열 등을 의미한다. 이는 청소년기의 지적 발달을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심미적 정조란 미적 가치를 추구함에 따라 생기는 흐뭇한 감정을 의미하며 이러한 미적 감정은 청소년기에 가장 많이 발달하고 있다. 도덕적 정조 란 윤리적 도덕적 감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청소년의 자아 확립과 도덕성 발달에 크게 기여한다.
II. 성격과 사회성의 발달
청소년기에 들어서게 되면 청소년의 눈은 처음으로 자기의 마음속의 내면에 향하게 된다. 대상 또는 객체로서의 자기 존재에 관심을 갖게 됨에 따라 Spranger는 이를 자아의 발견이라 부르고 있다. 이러한 자아의 발견이나 자아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청소년기 전기에서 중기에 걸쳐서 청소년의 생활 태도에는 커다란 변화가 생기면서 다음과 같은 특유의 심리와 행동이 나타난다. 첫째로 청소년기에 들어오면 급속히 자아의식이 높아지면서 스스로의 힘과 판단 그리고 책임 하에 행동하려는 독립의 욕구가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즉 여태까지는 부모나 어른의 품속에 안겨 있던 심리적 의존에서 탈피하려는 기분이 강하게 � ��용하게 된다.
둘께로 제2의 반항기이다. 청소년은 독립된 존재로서 행동하고자 하나 실제 경험이나 생활 능력이 부족하고 현실을 무시한 이상적 추상적 사고에 빠지는 수가 많아 부모나 주변의 어른들은 어른 대접을 잘 해주지 않는다. 이러한 성인의 태도에 비해서 청소년은 억압과 강제 또는 몰이해와 권위주의로 받아들여지면서 반항하거나 비판적으로 자기주장을 내세우는 일이 많아진다. 청소년의 반항의 특징을 살펴보면 전기에는 감정적인 반항이 많으나 중기에 이르면 비판적인 반응이 많아진다.
또한 반항이나 비판의 대상은 초기에는 부모나 교사와 같이 주변의 권위자로서 어른이지만 차출 사회적 권위나 체제, 관습에 대한 비판도 나타나게 된다. 청소년 후기에 들어서서는 비판은 하지만 부모나 교사 등의 성인 생활양식을 전� �적으로 부정하기보다는 오히려 인정하려는 안정된 입장으로 전락하여 반항기는 끝나게 된다. 셋째로 청소년기는 이상적인 자기와 현실의 자기 사이에 괴리가 커지면서 갈등과 고민이 많은 시기이다. 따라서 청소년은 과민하게 반응하기 쉬우며 행복의 절정감에 빠진 듯싶은가 하면 정반대로 비극의 주인공과 같이 느껴지는 수가 많다.

하고 싶은 말
주요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 과제물입니다.

키워드
청소년, 발달, 청소년기, 정조, 감정, 고독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