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0일 화요일

속요

속요
속요.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경
2. 대동강
3. 양주
4. 장단
5. 정산
6. 벌곡조
7. 원흥
8. 금강성
9. 장생포
10. 총석정
11. 송산
12. 예성강
13. 동백목
14. 쌍연곡
15. 태평곡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서경
1) 해제 : 서경(西京)은 옛 조선의 땅인데 여기의 백성들은 예절과 사양하는 품성을 배웠으며 임금과 어버이, 어른을 존경하는 도리를 알고 있었다. 그래서 이 노래를 지어 '인자스럽고 은혜로운 것이 충만되고 창달하여 초목에까지 미쳤으니 비록 꺾이고 넘어진 버들가지에도 또한 새싹이 날 뜻 生意 이 보인다'는 뜻을 말했다.
2) 원문 : 西京古朝鮮卽箕子所封之地. 其民習於禮讓知尊君親上之義. 作此歌. 言仁恩充暢以及草木雖折敗之柳亦有生意也.
3) 이해 :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는 <서경(평양)>으로,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에는 서경곡(西京曲)으로 각각 제목과 유래만 실려 있고,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서경(평양)은 옛날 기자(箕子)가 자리 잡았다는 곳으로 백성이 예양(禮讓)을 익히고 임금을 섬기는 뜻으로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서경별곡(西京別曲)>과는 내용이 전혀 다른, 그 원곡(原曲)이 아닌가 짐작되기도 한다.

2. 대동강
1) 해제 :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태사를 조선에 봉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8개조의 교화를 시행함으로써 예절 있는 풍속을 이룩하였으며 조정과 백성들은 아무런 고통이 없이 편안하게 살았다. 그래서 대동강을 황하에 비기고 영명재를 숭산에 비기면서 그들의 군왕을 칭송․축복한 것이니 이것은 고려조에 들어온 이후에 지은 것이다.
2) 원문 : 周武王封殷太師箕子于朝鮮. 施八條之敎以興禮俗朝野無事. 人民懽悅. 以大同江比黃河永明嶺比嵩山頌禱其君. 此入高麗以後所作也.

참고문헌
임기중, 시로 읽는 노래문학, 화동, 2004
임동권, 한국 민요사, 문창사, 1999
안병희, 국어사연구, 문학과지성사, 2002
윤영옥, 고려시가의 연구, 영대 출판사, 2001
이병기, 시용향악보 고찰, 『한글』 통권113호, 1995
정병욱, 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79
조해정, 고정화, 동동 고찰, 경북대학교
최용수 고려가요 연구, 계명문화사, 2003
한국민족대백과사전, 동서문화사, 2004


하고 싶은 말
속요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속요, 시가류, 벌곡조, 시용향악보, 증보문헌비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