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30일 화요일

사회과 교육의 의미

사회과 교육의 의미
사회과 교육의 의미.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과 공부의 의미
1) 사회과 교육의 정의
2) 교과의 성격에 대한 논의
3) 시민성 교육
4) 학교는 중립적 기관인가
2. 교사와 학생의 세상살이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사회과 교육의 의미
1) 사회과 교육의 정의
사회과교육은, 그 성격을 단정 짓기는 어렵지만 대체적으로 사회과학과 인문학에서 선택 추출된 지식의 구조, 보편적인 가치와 태도를 종합하여 민주적 시민성을 육성하려는 교과교육이다. (박상준, 2009, 21) 이 정의를 토대로 사회과를 공부하는 것에 대한 의미 고찰을 시작하겠다. 이 개념에서 보건대, 사회과교육의 내용 중에는 선택 추출된 지식의 구조가 들어있다. 학생들이 학습해야 될 필요성이 검증된 지식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교과 성격에 대한 논의를 하고있는지 살펴보겠다.

2) 교과의 성격에 대한 논의
교육사조의 변화가 크게 교과-경험-학문-인간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지만, 학생들에게 가르칠 교과의 성격을 파악할 때는 일반적으로 그 내용이 경험과 학문으로 양분되는 경향이 있다.(이홍우, 2006, 34) 듀이는 교과의 성격을 경험이라고 규정하고 아동들이 실제로 교과의 내용을 경험하는 것을 중요시 했다. 예를 들어 2008년도에 한 교사가 실시한 프로젝트 수업을 보면 학생의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 측면을 찾을 수 있다. 이 교사는 아이들에게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의 모습을 가르치기 위해 1년 동안 자신의 동네를 직접 찾아다니는 프로젝트 수업을 시도한 적이 있다. 아동의 주도성과 참여, 대상과 사물과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효과적인 교과교육을 기한 것이다(이혁규, 2008, 80-105). 이와는 다르게 교과는 학문이라는 주장을 펼친 학자는 브루너이다. 자칫 이 둘의 관점이 상이한 것이고 상호배타적이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으나, 이는 그릇된 것이다. 브루너는 아동이 직접 꼬마 학자가 되어 전문가들이 일궈놓은 지식의 구조를 따라 가보게끔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예로 들자면, 2006년에 어느 초등학교 5학년 교실에서 이루어진 재판 수업을 예로 들 수 있다. 사회적 논쟁거리를 학생들이 직접 재판을 통해 해결하는 과정을 겪어봄으로써 법정에서 이루어지는 판결 과정에 대한 공부는 물론이거니와, 이를 통한 문제해결 방법을 자연스레 습득할 수 있도록 했다.

참고문헌
D.F.Walker and Jonas.F.Soltis(허숙 외 역), 2004, 교육과정과 목적, 교육과학사.
이홍우, 2000,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이혁규, 2008,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우리교육.
신진욱, 2008, 시민, 책세상.
로크리지연구소, 조지 레이코프(나익주 역), 2007, 프레임 전쟁, 창작과비평사.
Paulo Preire(남경태 역), 2002, 페다고지, 그린비.
Henry A. Giroux(이경숙 역), 2001, 교사는 지성인이다, 아침이슬.
Henry A. Giroux(변종헌 역), 2009, 신자유주의의 테러리즘, 인간사랑
Matt. Hern(기영화 역), 2004, 학교를 버려라, 나무심는사람



하고 싶은 말
사회과 교육의 의미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사회과 교육, 교과의 성격, 시민성 교육, 교사와 학생, 브루너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