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엽 시인.hwp |
목차 Ⅰ. 신동엽의 생애 Ⅱ. 신동엽의 시 세계 1. 전통주의, 정신주의적 한계 2. 참여시 3. 설화적 상상력 4. 원수성의 세계로의 지향 1) 대지의 이미지 2) 문명 탈피 5. 서사 형식 : 장편 서사시 <금강>을 중심으로 6. 포용하는 여성의 이미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신동엽의 시 세계 1. 전통주의, 정신주의적 한계 신동엽은 「육십년대의 시단 분포도」에서 전통시를 '향토시'로 이름을 바꾸어 부르면서 순수시의 계열로 (그는 예술지상주의적 경향이라고 기술한다) 배치한다. 때로는 이 전통시가 역사적 현실에 대하여 저항의 성격을 띠더라도 "식물성적 순수 반항", 비유적 표현을 빌려서 골격이 없는 색채만의 반항이라 하여 진정한 의미의 참여시와 변별한다. 여기서 골격이란 이데올로기적 측면이며 색채는 정서적 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한다. 이에 신동엽은 모더니즘에 대해 혐오를 가졌으며 모더니즘에 대한 그의 혐오는 서구문명에 대한 혐오이자 문학적 기교에 대한 혐오에 등가 된다. 그만큼 그에게는 지금, 여기의 우리의 역사적 현실이 문학에 선행해서 중요한 것이었다. 신동엽의 시에서 전통적 서정인 한(恨)을 발견하게 되는 것은 전연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 한의 서정으로 그의 시는 보다 두드러지게 전통시의 성격을 띠게 된다. 사라진 과거의 전통적 삶에 대한 회상 형식이다. 시인의 태도는 분명히 과거 지향적이다. 과거 지향성은 신동엽 시를 지배하는 세계관이다. 이것은 이미지 선택을 제한하기 마련인데 이미지를 선택하는 원리는 서정이다. "상엿집 양달", "국수 팔던 할멈", "까치밥" 등의 이미지들은 모두 향토적이거나 토속적인 정감을 불러일으킨다. 과거 지향성은 과거의 삶의 가치를 느끼고 그 과거를 동경하는 세계관이다. 참고문헌 김준오, 신동엽, 건국대학교출판부, 1997 이명희, 현대시와 신화적 상상력, 새미, 2003 유재천, 1960년대의 시, 한국현대문학사, 집문당, 2004 신정섭, 대지를 아프게 한 못 하나 아버지 얼굴가에 그려넣고, 1979 오윤정, 신동엽 시 연구,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김응교, 시인 신동엽, 현암사, 2005 김석영, 신동엽 시의 서구 지배담론 거부와 대응, 상허학보, 상허학회, 2005 김응교, 신동엽 시의 장르적 특성,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이동하, 신동엽론 - 역사관과 여성관,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하고 싶은 말 신동엽 시인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신동엽, 참여시인, 정신주의, 눈 날리는 날, 껍데기는 가라 |
2016년 8월 29일 월요일
신동엽 시인
신동엽 시인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