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제도적 예술과 그 반론.hwp |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제도적 예술 1) 지위수여 2) 수행이론 2. 사회제도적 예술의 반론 1) 지위수여의 반론 2) 수행이론의 반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사회제도적 예술 현재 진행 중인 미학적인 입장에서 가장 중요시 피력되는 것은 사회제도 이론이다. 이 제도 이론은 (institutional theory) 사회학적인 미학과 철학적인 미학의 중간지점을 차지한다고 보는 예술론으로써 이 이론의 가장 유명한 주창자는 미국의 조지 디키(George Dickie)이다. 제도 이론은 예술계의 입장에 있어서 가장 현실적인 부분에 맞닿아 있는 정확한 지적으로써 가장 영향력이 있는 부분으로 시작하며 어떻게 예술을 작품으로 간주하며 평가하는 것인가 그리고 시대와 장송에 따라 어떻게 받아드려지는가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을 철학적 정의를 기초적인 부분에 삼고자 하는 부분에 있어서 전통적인 부분의 미학의 가장 도전적인 부분으로 받아드려지고 있다. 1) 지위수여 (conferring status) 예술의 정의를 말하고자 하는 부분에 있어서 자격을 수여하는 일 (conferring status) 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을 조지 디키는 직접적인 부분에 있어서 피력한다. 그는 책에서 이렇게 말한다. 자격수여 행위의 가장 명백하고 선명한 사례들은 법적인 자격이 관련되고 잇는 어떤 국가적 행위들이다. 국왕의 기사 작위 수여, 대배심원의 기소행위, 선거 위원회 위원장의 관직 후보자 공인, 한 쌍의 부부임을 목사가 공표하는 일 등은 모두 어떤 사회 제도 –국가- 의 편에서 행위를 하는 사람이 법적인 자격을 수여하는 사례들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법적인 자격을 확립하기 위해 화려한 행렬이나 의식이 요구됨을 시사해 주고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법 관할 구에서는 내연 관계가 가능해서 의식이 없이도 법적인 자격이 획득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똑같이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수여한다든가, 로터리 클럽의 회장을 선출하다든가 또는 어떤 사물을 교회의 성보로서 선언하는 일 등은 한 사람이나 혹은 여러 사람이 비법적인 자격을 수여하는 사례들이다. 앞서의 경우에서처럼 이런 종류의 자격을 확립하는 데에 여기서는 그러한 의식이 요구되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조지디키, 오병남 역, 『미학입문』, 서광사, 1983 김요한, 『예술의 정의』 , 서광사 ,2007 W.타타르키비츠, 손효주역 『미학사』 , 미술문화, 2005 드니 드니로, 이충훈 역, 『미의 기원과 본성』 도서풀판 b , 2012 에드먼드 버크, 김혜련 역,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 한길사, 2010 하고 싶은 말 사회제도적 예술과 그 반론에 대한 과제입니다. 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키워드 사회제도적 예술, 지위수여, 수행이론, 반론, Arthur Danto |
2016년 8월 30일 화요일
사회제도적 예술과 그 반론
사회제도적 예술과 그 반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