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팀 협력.hwp |
목차 Ⅰ. 서론 협력관계에 관한 문헌 고찰 ① 협력의 정의, 유형, 성공요인 ② 건강증진에서 부문간 협력의 배경 및 중요성 ③ 부문간 협력의 동기 Ⅱ. 본론 1) 의료인 간에 협력이 잘 된 상황 2) 협력이 잘 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경우 3) 원인 분석 및 협력 방안 제시 가. 원인분석 나. 협력 방안 제시 4) 실습 중 다른 사람과 협력한 사례 가. 사례 설명 나. 결과 Ⅲ. 결론 및 제언 1) 이론과 실제의 차이 2) 소감 *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협력관계에 관한 문헌 고찰 ① 협력의 정의, 유형, 성공요인 Mattessich (2005)은 협력(collaboration)을 2개 이상의 조직이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모여서 잘 설정된 관계를 통해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것으로, 협력관계는 상호관계와 공동목적의 명확한 설정, 공동 개발한 운영구조의 운영, 책임과 권위 공유, 책무성의 공감, 자원과 보상의 공유에 대해 협력자들이 공감하고 성실히 임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협력은 공동 작업의 체계와 정도에 따라 networking, cooperating, coordinating, collaborating 등으로 분류되어 왔다(Butterfoss, 2007; Himmelman, 1992; Kagan, 1991, as cited in Jang et al, 2009, p. 132). 이 중 보통 '협력'으로 번역 사용되는 collaboration은 각자의 조직과 체계를 가지고 있는 개체들이 협력을 위해 협의체와 같은 별도의 운영체계를 만들고 협력을 진행하기 위한 공동의 자원을 확보하여 장기적인 관계를 이어가는 유형이다. 이에 반해 간헐적으로 정보 교환을 하는 정도는 연계(networking), 일의 불필요한 중복을 줄이면서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단기간, 비공식적 협력관계는 협조(cooperating)로 분류된다. 성공적인 협력의 특성은 곧 협력의 성공을 판단하는 진단항목이 된다. 협력에 우호적이고 지지적인 여건, 협력에 대한 지원과 보상체계, 협력을 이끌어가고 방향을 제시하는 리더십, 협력 협의체 구성원의 다양성, 협의체 구성원 간의 상호존중, 이해, 신뢰, 타협, 구성원 각자가 이루고자 하는 바와 협력 목적의 부합성, 협력 목적에 대한 공동의 이해, 협력과정에서의 명확한 역할설정과 운영원칙, 협력자 간 개방적이고 빈번한 의사소통 등이 대표적인 진단항목이다. 협력(collaboration)이란 일반적으로 '다양한 자율적인 주체들이 공동의 사업을 착수하고 공통의 우려를 다루거나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유동적인 과정'으로 정의된다(Rosenthal, 1998). 부문간 협력(Intersectoral collaboration)이란 한 개 이상의 특화된 기구가 공동의 목적을 위하여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면서 관여하는 집단적인 행동을 말한다(Adeleye & Ofili, 2010). 부문간 협력은 단순한 다부문의 활동(multisectoral actions)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반드시 부문들간의 노력을 조정하는 부분이 필요하다(Adelye& Ofili, 2010). 참고문헌 고명숙, 김태숙 외(2011). 간호학개론(3판). 파주: 수문사. 김미주(2004). 보건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간의 지역사회 보건 복지 협력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보건정책관리전공. 강은정(2013). 건강증진을 위한 부문 간 협력의 이해.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30(4), 17-24. doi 유승현, 김광기(2013). 보건소의 지역사회 건강증진 협력 모색.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30(4), 77-85. doi 키워드 공동, 관계, 부문간, 협력관계, 부문, 목적 |
2018년 6월 26일 화요일
보건의료팀 협력
보건의료팀 협력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