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학- 교회의 정치참여에 관한 와국사례.hwp |
본문 이 책은 1부와 2부로 나뉘어 있어 1부에서는 다른 나라(독일, 네덜란드, 영국, 미국)에서 기독교가 정치에 끼쳤던 영향에 대해서, 2부에서는 한국에서 기독교가 가지는 영향력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제 1 부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독일 개신교회의 정치윤리와 정치참여 독일 개신교회의 정치윤리와 정치참여의 형태를 살펴보고, 성숙한 민주주의를 향해 부단히 노력하는 독일 개신교회를 추적함으로써, 오늘 한국의 개신교회가 어떤 정치적인 과제를 감당해야 할지를 말해준다. 독일 개신교회 정치윤리의 근본적인 입장은 루터교회의 두 지배론과 개혁교회의 그리스도의 왕적 주권론이다. 독일 개신교회는 루터교회의 두 지배론과 개혁교회의 하나님의 왕적 주권론 사이에 적당한 균형을 유지하며 정치적인 입장표명과 함께 정치참여를 실행해 왔다. 성명서나 사회백서, 연구서 등의 문서를 통해 정치참여를 실천하고 있는 것이다. 독일 개신교회는 민주주의를 기본가치와 지배형식, 삶의 형식과 행동덕목으로 구성된 정치체제로 이해한다. 그래서 필자는 민주주의 사회백서를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첫째, 기본가치로서의 민주주의. 인간존엄의 존중, 자유와 평등의 승인 그리고 이로부터 뒤따르는 정치사회적 정의로 규정한다. 둘째, 지배형식으로서의 민주주의. 다수의 결정을 합법적이고 민주적인 결정으로 이해하나 인권과 기본권을 다수결의 한계점으로 설정한다. 셋째, 삶의 형식으로서의 민주주의. 인간존엄의 기본가치가 고려되고 적용되는 일상적인 삶에서 발견한다. 넷째, 행동덕목으로서의 민주주의. 상호승인과 관용의 덕목을 담고 있다. 또한 민주주의 사회백서는 갈등의 능력과 타협의 능력을 민주주의의 또 다른 덕목으로 강조한다. 민주주의 사회백서의 공헌은 첫째, 독일 개신교회로 하여금 무엇보다 루터이래로 팽배한 왕좌와 제단의 연합 안에 있던 교회전통으로부터 결별하도록 했다. 둘째, 헌범규범과 현실 사이의 긴장을 지적함으로써 당시의 서독국가를 향해 도전했다. 셋째, 신학적인 인간관의 수용과 균형에 기여했다. 넷째, 자본주의 체제 내의 민주주의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사회주의 체제 내에서의 민주주의와 그 안에서의 교회의 역할을 부정하지 않음으로써 체제를 넘어선 교회간의 연대를 모색하도록 했다. 독일 개신교회는 제 2차 세계대전의 종전 이래로 지금까지 독일 국가와 사회에 민주주의가 정착되고 발전되도록 신앙에 기초한 이론적인 작업과 구체적인 실천을 아끼지 않았다. 한국의 개신교회 역시 해방된 후에 민주주의를 위한 노력을 얼마든지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의 개신교회는 건강한 정치참여와 이를 위한 정치윤리를 모색하는데 주저해 왔다. 그렇다면 독일 개신교회의 정치윤리와 정치참여에 비추어 진정한 민주주의를 위해 한국의 개신교회가 감당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가? 첫째, 교회가 국가적인 시안에 대해 무책임하고 무기력하고 무관심했던 부끄러운 과거로부터 돌이켜야 하고, 국가와 교회의 바람직한 관계 유형으로부터 국가에 대한 교회의 책임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정치윤리를 제대로 정립해서 교인들을 교육해야 한다. 둘째, 교회와 기독교인들이 기독교적인 가치를 현실 정치에서 어떻게 실현해 낼 수 있을지 마땅한 대안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그 대안을 구체적으로 실행하도록 선한 역량을 모아야 한다. 셋째, 이미 정치현장에 있는 기독교인 정치가들에게 기독교적 정체성을 자신의 정책에 진지하게 반영하도록 도전해야 하고, 정치를 지망하는 기독젊은이들에게 기독교인 정치가의 신앙적 비전과 정치적 책임을 고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고 싶은 말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키워드 정치참여, 와국사례, 와국, 사례, 교회, 정치학 |
2017년 12월 31일 일요일
정치학- 교회의 정치참여에 관한 와국사례
정치학- 교회의 정치참여에 관한 와국사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