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1일 화요일

셰익스피어 햄릿 비평

셰익스피어 햄릿 비평
셰익스피어 햄릿 비평.hwp


본문
셰익스피어만큼 생애와 정체성에 대하여 논쟁이 있는 작가도 드물 것이다. 그의 출생일 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그는 영국의 '스트랫퍼드 어폰 에이번' 이라는 마을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셰익스피어는 11세에 입학한 문법학교에서 언어를 배운 것으로 추정되고 이 시기의 교육이 자신의 언어적 재능에 더 보탬이 되지 않았나 싶다. 하지만 당시에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학식 있는 작가들을 '대학 재사'라고 불렀는데 이들과는 달리 셰익스피어는 고등 교육을 받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최고의 문학가로 날리게 되었다는 점에서 우리는 예술에 학력 요소가 중요하지 않다는 점을 발견해 볼 수 있다.
셰익스피어는 18세의 나이에 26세의 앤 해서웨이와 결혼하고 런던으로 이주 한다. 엘리자베스 여왕(1558∼1603)이 통치하던 이 시기의 런던은 많은 농촌 인구가 유입되어 대단히 북적거리고 활기 넘치는 도시였다. 특히 빈번한 연극 공연은 많은 사람들에게 여흥을 제공하면서 셰익스피어가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1592∼1594년 2년간에 걸친 전염병인 '페스트'가 창궐하여 여러 극장이 폐쇄되었고, 때를 같이하여 런던 극단도 전면적으로 개편되었다. 이때부터 신진극작가인 셰익스피어에게 본격적인 활동의 기회가 주어졌다. 그는 이때부터 《헨리 6세》, 《로미오와 줄리엣》, 《한여름밤의 꿈》,《베니스의 상인》, 《햄릿》,《오셀로》, 《리어왕》,《맥베스》와 같이 유명한 극을 쓰고, 유명해진다. 1616년 4월 23일 52세의 나이로 고향에서 사망하였다. 대학교육을 받지 않은 그가 37개의 작품 전부를 썼을까, 다른 이가 쓴 것은 아닐까 하는 의혹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모두 근거 없는 추측일 뿐이다.
2. 셰익스피어 '햄릿 비평' - 실존주의와 삶, 죽음의 개념을 중심으로 -
나는 셰익스피어의 여러 작품 중에서도 4대 비극 중의 하나인 '햄릿'을 비평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내가 중점을 둘 부분은 '실존주의' 의 입장에서 '햄릿' 이라는 인물을 해석 하는 것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사르트르의 입장과 하이데거의 상반된 입장을 참고할 것이다. 특히 하이데거에 관한 부분은 《한충수,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에서의 죽음 개념을 통한 셰익스피어의 『햄릿』 읽기", 한국하이데거학회, 2008년》을 참고 했음을 미리 밝힌다.
그 전에 '실존주의' 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실존주의' 는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 는 사르트르의 말 한마디로 정리된다. 그 이전의 시대가 우리가 정말로 존재하는 것인가, 존재하는 이유와 목적은 무엇인가 라는 의문에 집착하였다면 그러한 본질적 문제들 이전에 이미 나는 '참으로 존재'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본질적 문제들(존재 목적)을 스스로 설정하고 나아가겠다는 것이 실존주의의 참된 의의라고 생각한다.
한충수는 논문에서 하이데거의 현존재와 죽음 개념을 인용한다. 현존재는 시간과 공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 존재를 의미한다. "그 때마다 각기 현존재의 전체성을 제한하고 규정하는 것은 현존재의 끝( The end)다." 즉, 우리 현존재는 죽음을 통해서 규정하고 이해 할수 있는 것이다. 사르트르는 삶의 목적과 그에 따른 생을 통해 실존을 규정한 반면, 하이데거는 죽음을 통해 실존을 규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상반된 입장이다.
햄릿 본문에서 햄릿의 존재 이유는 아버지의 유령이 나타난 이후로부터 시작된다. 그전의 햄릿은 아버지의 죽음과 어머니의 급한 결혼으로 실존적인 고뇌와 방황을 계속하는 상태이다. 사르트르적 관점에서 보자면 햄릿은 아버지가 진실을 전해줌으로써 숙부에 대한 복수를 삶의 목표로 설정하면서 실존한다고 볼 수 있다. 햄릿 본문에서 아버지의 말을 들은 후 햄릿은 자신의 존재이유를 깨닫는다. " 햄릿: 세상이 혼란해졌어. 아, 저주받은 운명이여. 세상을 바로잡기 위하여 내가 태어나다니. -극 햄릿" 하지만 하이데거의 죽음 개념을 통해서 초반부를 이해하자면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햄릿은 자정에 시작한다. "자정은 특별한 시각이다. 자정은 한 하루와 다른 하루의 경계이기 때문이다. 한 삶(=이승에서의 삶) 다른 삶(= 저승에서의 삶) 사이의 경계는 죽음이다. 극 1막 1장에서 죽음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것 이다.논문 p 12"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죽음의 개념과 동시에 중요한 개념이 '불안'의 개념이다. 현존재는 많은 것을 모르기 때문에 불안과 함께한다. 죽어서 바꾸어질 수 없는 본질을 찾았을 때는 이미 자신은 존재가 사라진 비존재라는 불안이다. 불안은 현존재가 털어 버릴 수 없는 숙명인 것이다. 사르트르적 관점에서 보자면 햄릿의 복수에 대한 의지는 초반부에 확고하지만, 하이데거적 관점에서 보자면 햄릿은 불안하다. 숙부의 죽음과 동시에 반역죄로 처형될 자신의 죽음도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제 햄릿에게는 아버지라는 타인의 죽음만이 문제가 아니라, 햄릿 자신의 죽음도 문제가 되고 있다. 논문 p16"

하고 싶은 말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키워드
햄릿, 셰익스피어, 비평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