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품이나 영화작품을 분석해보시오.hwp |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 1) 의식, 전의식, 무의식 2) 이드, 에고, 슈퍼에고 2. 프로이트 비평과 예술의 상관관계 3. 영화 '수상한 그녀'의 내용과 감상평 4. '수상한 그녀'의 여주인공 오두리의 심리주의비평 적용 1) 이드 2) 에고 3) 슈퍼에고 III. 결론 참고자료 본문 I. 서론 최근에 봤던 영화들 중에서 나름대로 기억에 남고 스토리가 괜찮았다고 생각되는 작품으로 '수상한 그녀'가 떠오른다. '수상한 그녀'는 언뜻 보기에는 코믹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여기에 멜로를 합쳐서 감동까지 이끌어낸 나름대로 잘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본다. 여기서 여주인공은 할머니에서 아가씨로 바뀐 외모로 인하여 다양한 사건을 겪게 되는데 개인의 내면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이 된다. 그러한 점에서 프로이트의 비평에 적용하기에 더 없이 좋은 작품이 될 수 있겠다. 웬만큼 재미나 감동이 있었던 영화는 다음에 한 번 더 볼 것을 다짐하게 되는데 바로 이 작품이 나에게 그러하다. 스토리의 전개와 배우들의 연기, 중간에 나오는 여배우의 노래들은 한번 보고나면 사람들의 가슴 속에 계속 머물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는 영화인 듯하다. II. 본론 1.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 1) 의식, 전의식, 무의식 정신분석학 초기(1890∼1920,약 30년간)에 있어 프로이트 이론의 중심개념은 무의식이다. 무의식을 인간심리의 가장 크고 중요한 영역으로 본다. 즉 프로이트는 인간의 마음인 심리구조를 의식?전의식?무의식으로 구분하여 논하고 있다. 인간의 마음인 심리구조는 물위에 떠있는 빙산에 비유될 수 있다. '의식'이란 물위에 떠있어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영역이다. 빙산의 작은 부분에 위치하여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 자각상태에서 인식되는 행위나 감정이 이에 해당한다. '전의식'은 물속에 잠겨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알 수 있는 영역이다. 의식의 바로 아랫부분에 위치하여 무의식과 의식을 연결하는 다리역할을 한다. 저항력이 약하기 때문에 아주 쉽게 의식 속으로 떠오를 수 있는 기억이나 관념 등이 이에 해당한다. '무의식'은 깊은 물속에 잠겨있어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영역이다. 즉 인간의 사고나 행동을 통제하는 보이지 않는 힘이다. 의식의 영역밖에 존재하여 자신이 전혀 자각할 수 없는 영역이다. 인식의 영역 밖에 있기 때문에 스스로 영원히 인식을 못할 수도 있다. 빙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의식으로 나타내기가 훨씬 어렵다. 참고문헌 김유경, 정신분석학의 서사성: 프로이트 저작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0. 박찬부, 문학과 정신분석학, 외국문학 제 32권, 1992. 박찬부, 기호, 주체, 욕망, 창비, 2007. 배상아, 초현실주의 회화에 있어 무의식 의 영향과 심리적 요인에 관한 고찰, 한남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2. 이윤영, 퇴계와 프로이드의 마음이론에 관한 대비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1. 장도준, 정신분석학적 비평, 한국말글학 제 25집, 2008. 조경덕 외, 상담심리학, 정민사, 2012. 하고 싶은 말 방통대 문학의 이해 공통 2학년 중간과제물입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기 쉽도록 서술하였고, 이에 대한 영화의 작품으로 2014년도 인기작품인 수상한 그녀 를 선택했습니다. 줄거리와 감상평을 전체적으로 유기적인 문장으로 작성하였으며, 이 영화를 심리주의 비평에 맞게 적용하여 여자주인공(오두리)를 이드, 에고, 슈퍼에고의 관점으로 하여 상세하게 살펴보았습니다. 출처까지 모두 기록해두었으니 참고하여 좋은 학점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키워드 문학의 이해,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 심리주의 비평, 문학의이해 프로이트의 심리주의비평 |
2016년 4월 28일 목요일
문학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품이나 영화작품을 분석해보시오
문학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품이나 영화작품을 분석해보시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