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연구방법.hwp |
본문 질적 연구방법 목차 질적 연구방법 I. 비구조화된 체계적 관찰 II. 민족지학적 조사연구 III. 사례연구 IV. 근거이론 * 참고문헌 질적 연구방법 양적 조사연구와 질적 조사연구 간의 구분은 불분명하며 다소 중복되는 부분도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어떤 조사연구의 유형들은 그 특성상 질적 조사 연구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유형의 조사들은 주로 관찰이나 면접방법을 통해서 자료수집을 하며, 전통적인 양적 조사연구방법을 활 용할 경우 대답을 얻어낼 수 없는 질문들에 초점을 맞춘다. I. 비구조화된 체계적 관찰 사회복지 분야의 연구에서 인간행동을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예를 들어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관계, 집단 과정 또는 업무 성취에 대해 알고자 할 때 연구자는 체계적 관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연구자는 관심 있는 행동에 대한 직접적 관찰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구조화된 체계적 관찰(unstructured systematic observation)이란 공식적 자료수집도구가 없는 경우를 뜻한다. 비구조화된 체계적 관찰 방식에서는 연구자가 수동적 관찰자가 되거나 혹은 참여관찰자가 된다. 이러한 방식은 연구하고자 하는 특정 행동을 연구자가 미리 명확하게 꼬집어 낼 수 없거나, 혹은 실험실과 같은 곳이 아닌 자연적 상황에서 관찰을 하고자 할 때 적합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인류학이나 사회심리학에서는 비구조화된 체계적 관찰방법을 활용하여 거리의 폭력단이나 노숙자(homeless people)를 연구하였다. 주로 한정된 지식만을 갖고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비구조화된 방식으로 행동관찰을 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렇게 함으로 인해 연구자는 항목이나 목록과 같은 제한된 시각을 벗어나 보다 광범위한 행동반경을 모두 관찰할 수 있다. 비구조화된 관찰은 결국 탐색적 연구와 기술적 연구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관심 있는 행동, 문화 혹은 환경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알고자 할 때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간혹 차후에 시도될 보다 구조화된 조사연구의 기초 작업을 위해서 활용되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하고 싶은 말 핵심내용을 요점/정리한 A+ 과제물입니다. 키워드 연구, 관찰, 방법, 조사, 연구자, 조사연구 |
2020년 8월 3일 월요일
질적 연구방법
질적 연구방법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