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2일 일요일

지수와 척도

지수와 척도
지수와 척도.hwp


본문
지수와 척도
실제 사회과학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개념들을 측정해 내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보통 이런 경우에 개념을 나타내는 지표(indicator)를 쓰게 되는데, 이는 지표를 통해서 간접 측정을 한다는 의미이다. 즉, 지표는 통상 하나의 개념을 측정하는 값을 의미한다.
가령, 성별, 연령, 가족 수, 결혼 여부 등은 단일한 지표를 관찰하면 바로 그 속성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사람의 사회경제적 지위(SES)를 알려고 하면, 그 사람의 학력이나 소득 수준 , 직업, 주거 등의 복합적인 지표를 통해 이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대부분의 사회과학적 개념은 복합적인 속성을 갖고 있어서 단일지표로는 그러한 복합적인 내용을 제대로 측정해 내기 어렵다. 그래서 복합적인 측정도구를 사용하게 된다. 지수와 척도는 바로 이러한 복합적인 지표의 결합을 통해 만들어진 측정도구이다.
지수와 척도는 이렇게 복합적인 지표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도구이므로 사회과학 영역에서 많이 사용한다. 이들 지수와 척도의 장점을 살펴보면, 궁극적으로는 지수와 척도는 복잡한 개념을 함께 나타낼 수 있는 자료의 복잡성을 줄여 주는 장점이 있다. 둘째는 더 정확한 통계학적 조작들을 가능하게 하는 수량적인 측정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는 복합적인 항목이나 지표들을 결합하여 측정하는 것이 측정의 � ��확성과 신뢰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지수는 복합적인 지표를 나타낼 수 있는 측정도구로, 대부분 단일 차원이 아닌 복합적 지표를 통해 광범위한 개념을 측정해 내는 것이다.
예컨대, 한 국가의 사회의 복지 수준 등은 다수의 지표로 구성된 지수로서 그러한 개념들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지수와 척도는 모두 복합지표 또는 복합측정치이지만 종종 이를 구분하는 기준이 모호하여 혼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지수와 척도를 구별해 보면 지수는 개별적인 속성에 부여한 점수를 단순히 누적해서 얻은 측정치인데 비해, 척도 값은 범주화 속성들의 유형들에다 점수를 주는 절차로 얻는 측정치로 구분한다(Babbie, 1975; 김경동, 1995 재인용).
그러므로 지수는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고, 대체로 비교적 객관적인 � �표들을 다루는 반면, 사람들의 태도와 같은 추상적이고 내면적인 개념들을 측정하는 것은 대부분 척도이다.
그래서 실제 척도 구성의 단계는 지수 구성 단계보다 더 엄격하다. 지수의 예로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사회경제지위지수(SES), 소비자물가지수(CPI), 집단성격지수, 태도지수 등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지수를 구성할 때 유의할 점은 측정할 개념에 대한 구체적 지표를 만들기 위해 문항선정에서 우선 타당성을 가져야 하며, 측정하려고 하는 하나의 주제에 한정된 단일차원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지수 구성에서 각 문항 선정에 있어 문항 간에 상관성을 검토해야 한다. 한편 지수를 점수화할 때는 응답범주의 수가 너무 많거나 적지 않게 표본의 크기를 고려하여 구성한다. 지수의 타당도는 문항분석을 통해서 검토하는데, 문� �분석의 논리는 각 문항이 그것을 내포하는 전체 지수와 얼마나 상관도가 높은 응답을 얻어 냈는가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지수 구성의 과정은 우선 무엇을 측정하려는지가 명확해야 하며, 특히 다수의 지표들을 통해 지수를 구성할 경우, 개별 지표들이 각기 어떤 목적을 띠고 지수에 포함되는가 등에 대한 결정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 ��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하고 싶은 말
주요내용을 요점정리한 A+ 과제물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