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목차 단일사례설계의 종류 I. AB설계 II. ABA설계 III. ABAB설계 IV. BAB설계 V. ABCD설계(복수요소 설계) VI. 복수 기초선 설계 * 참고문헌 단일사례설계의 종류 I. AB설계 AB설계는 가장 단순한 단일사례설계의 형태이다-A단계에서는 아무런 개입이 없는 상태에서 표적행동의 변화에 대한 관찰이 이루� �지고, B단계에서는 개입이 이루어진 이후의 표적행동 변화에 대한 관찰결과이다. 이것은 통제집단 후비교설계의 논리로써 A단계의 자료수집은 통제집단의 역할에 속하고 B단계의 자료수집은 실험집단의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이 친 B의 순서로 이루어진 설재구조의 형태를 AB설계라 하고 관찰의 결과를 그림으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림> AB설계의 예 <위의 그림>는 비행청소년에 대한 반사회적 행위를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성을 지지하는 AB설계의 예이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표적행동(반사회적 행위)의 빈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총 20차례의 관찰이 있었는데, A단계(기초선)와 B단계(개입 이후)가 각각 10차례씩 관찰되었다. 위의 그림에서는A단계에서 안정적인 경향을 보이다가 개입이 이루어진 11� ��째 이후 B단계에서의 표적행동(반사회적 행위)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그림에 나타난 AB설계는 일단 시각적으로 개입의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AB설계는 다른 변수들이 전연 통제되지 않는 상황에서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므로 표적행동의 변화가 반드시 개입에 의한 것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개입 전과 후에 문제상태의 변화를 여러 번 관찰했다고 해도 이러한 변화가 개입 때문에 일어났다고 확신할 수 없다. 개입기간 중에 갑작스럽게 다른 요인들이 변화를 일으켰거나, 개입 없이도 문제행동이 개선될 수 있었는데 단지 개입기간에 개선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제한점 때문에 AB설계는 개입과 표적행동 변화의 인과관계를 추정하는 데 있어서 신법성이 약하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하고 싶은 말 핵심내용을 자세하게 정리한 A+ 과제물입니다. 키워드 설계, 개입, AB설계, 변화, 단계, A단계 |
2020년 8월 13일 목요일
단일사례설계의 종류(AB설계,ABA설계, ABAB설계, BAB설계, ABCD설계, 복수기초선설계)
단일사례설계의 종류(AB설계,ABA설계, ABAB설계, BAB설계, ABCD설계, 복수기초선설계)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