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회학] 10.26 서울시장 재 보궐선거에서의 SNS 정치적 역할.hwp |
목차 Ⅰ. 연구 동기 1. 집단지성으로서의 Social Networks Service, SNS 2. 정치에서의 SNS Ⅱ. 선거 과정에서의 SNS 1. 선거 기간 트윗 메시지의 폭발적인 증가 2. 트위터의 내용 - 나경원 후보에게 부정적, 박원순 후보에게는 긍정적 3. 공식트위터 계정 운영은 박원순 후보 캠프가 더 활발했다. 3-1. Follower수 3-2. 트윗수 3-3. 계정 언급 수 3-4. SNS를 이용한 홍보전략 3-5. SNS를 이용한 '소통'과 투표율 상승 4. SNS와 여론형성 Ⅲ. 정치에서의 SNS 활성화 원인 분석 1. 주류 미디어의 정치 편향에 대한 반발 예시 1 - 방송사의 정치 편향 예시 2 - 편파 보도 예시 2-1 편파적 네거티브의 보도 예시 2-2 정책보도 예시 3 신문사의 경우 2. 언론사의 정치 편향에 따른 SNS 활성화의 의의 Ⅳ. SNS의 Agenda setting기능 1. 시장선거에 대한 관심고조, 투표독려에 대한 SNS 효과 의제설정효과" (Agenda-setting Theory) 1-1. 20-40대의 투표 독려 효과 2. '나는 꼼수다', 기성 언론에 대한 위협 3. 내곡동 사저 논란에 대한 언론 보도 분석 4. 선거에서 '소셜테이너'들의 역할 Ⅴ. 결론 1. 연구결과 1-1. SNS는 즉흥적이고 흥미 중심적이다. 1-2. SNS는 흥행 중심의 정치, 선동적 정치, 이미지 정치를 만연시켜 정책 중심의 정치를 실종시킬 가능성이 있다. 1-3. 우려에도 불구하고, SNS는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자리 잡았다. ① 2008년 美 대선에서 나타난 SNS의 특징과 정치적 영향력 ② 한국 정치에서의 SNS ③ SNS는 이제 'Power Media'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 Agenda setting기능 2. 마치며 2-1. SNS가 '도깨비 방망이'는 아니다. 2-2. SNS의 힘 본문 Ⅰ. 연구 동기 1. 집단지성으로서의 Social Networks Service, SNS 21세기 '집단지성'발현의 예로는 크게 SNS를 들 수 있다. SNS란,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로서, 이용자들은 SNS를 통해 인맥을 새롭게 쌓거나, 기존 인맥과의 관계를 강화시킨다. 정보사회는 새로운 주체를 가능케 했다. 과거 노동과 거주의 공간, 즉 장소성에 결박된 정치적 정체성에 안주했다면 정보사회에 접어들면서 물리적 장소성을 완전히 벗어나는 정체성 형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에 SNS와 같은 새로운 소통수단은 상당히 광범위할 뿐 아니라 집중적이며 수평적인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바야흐로, 유비쿼터스의 시대인 오늘 날, SNS는 현대사회의 우리 개인에게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그 영향력은 경제, 사회, 문화 뿐만이 아니라 정치적인 영역까지 포함하고 있다. 키워드 서울시장, 정보사회학, SNS, 정치적 |
2017년 6월 28일 수요일
정보사회학 10.26 서울시장 재 보궐선거에서의 SNS 정치적 역할
정보사회학 10.26 서울시장 재 보궐선거에서의 SNS 정치적 역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