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30일 일요일

대중가요 `목포의 눈물`을 통해 바라본 목포의 의미

대중가요 `목포의 눈물`을 통해 바라본 목포의 의미
[대중가요] `목포의 눈물`을 통해 바라본 목포의 의미.hwp


목차
1.'목포의 눈물' 탄생
2.노래 제작 당시 시대적 배경
3.이난영 효과
4.이난영 그 이후
5.이난영 기억하기


본문
우리는 목포라는 도시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전남에 위치하며 바다를 끼고 있는 소도시, 지역의 색이 매우 뚜렷하고 그래서 더욱 정겨운 도시, 회색의 느낌이 나는 도시, 개발이 정체된 도시, 호남을 대표하는 항구도시, 한과 애환이 느껴지는 도시, 마지막으로 '목포는 항구다'라는 영화를 통해 이미지 된 도시.
우리가 처음 느끼는 목포에 대한 이미지는 이러하다.
하지만 목포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노래가 '목포의 눈물'이라는 것에는 모두 뜻을 모았다. 왜 하필 '목포의 눈물'일까? 가본 적도 없고 지역의 역사에 대해 알지도 못하는 우리가 특정 노래 하나로 그 지역을 기억한다는 것이 매우 흥미로웠다.
언젠가 한 번 드라마를 통해 목포의 눈물을 구성지게 부르는 장면을 본 기억이 난다. 비교적 가사도 어렵지 않고 쉬운 멜로디 때문에 귓가에 맴돌기도 했었다. 당시엔 단순히 이런 노래도 있구나, 트로트인가? 이 정도로만 생각하고 넘겼지만 발표주제를 선정하고 '목포의 눈물'이란 노래의 의미를 되짚어 보았을 때 단순히 트로트로 부르며 흥얼거리기엔 그 노래가 가진 역사가 그리 가볍지 않다는 걸 느꼈다.


참고문헌
이우용, 1996, 『우리 대중음악 읽기』, 창공사
이영미, 2006, 『한국대중가요사』, 시공사
김창남, 2010, 『대중문화의 이해』, 김창남

이재곤, 1994. 12, 「日本의 植民統治」, 고시연구사(월보), 고시월보, 제 18권 제12호
(통권 205호), pp.152~153
주창윤, 2008. 10 「1920~1930년대 '모던 세대'의 형성과정」,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제 52권 5호
박수애, 2011,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의 대중문화정책(大衆文化政策) -대중가요(大衆歌謠)를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학회, 한일민족문제연구
고석규, 2006. 5, "근대도시 목포의 대중문화를 통해 본 식민지 근대성", 역사문화학회,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9권 제1호, pp. 91-127


안건혁기자, "명작의 숨결 문학, 예술비를 찾아서-목포의 눈물", 경향신문5면 생활/문화, 1980-10-22
한준호기자, 가요무대 , 이난영과 작곡가 김해송 가족 집중 조명, 세계일보, 2011-04-10
최규성 대중문화 평론가, 김시스터 첫 앨범 1964년 LKL레코드, 주간한국 메거진, 2008-07-10
이선유 기자, '목포의 눈물' 숨겨진 저항 가사, 일본 경찰들만 몰랐다?,
TVREPORT : 방송전문인터넷미디어, 2011년 9월 5일 참고
김윤덕 기회취재부, 김윤덕의 사람人 목포의 눈물 번지 없는 주막 유행가에서 찾은 母國,
조선닷컴, 2011년 10월 1일 참고


목포 문화원 http://www.mokpoculture.or.kr/
목포 시청 http://www.mokpo.go.kr/
네이버 백과사전
KBS1 <명작스캔들> 서른세번째 스캔들 : '목포의 눈물'은 일본 경찰을 속이고 만든 노래다?
2011-09-06
KBS1 <가요무대> 1217회 - 이난영 음악가족 2011-04-11



키워드
대중가요, 목포, 가요, 눈물, 의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