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으로 본 한국시트콤의 특성과 사회 문화적 함의 분석.hwp |
목차 1.서론 왜 하이킥에 열광하는가? 2.본론 1.시트콤의 장르적 특성과 한국 시트콤의 역사 1-2. 하이킥 소개 2. 이론분석-내러티브 구조와 미장센 3. 인물분석 4. 사회적 함의 분석 3.결론 4.참고문헌 본문 1.서론 : 왜 하이킥에 열광 하는가? 시트콤은 소프 오페라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많이 제작되고 판매되는 글로벌 장르이다. 한국에서도 1990년대 초반 SBS에서 처음으로 시트콤을 선보인 이래, 수많은 시트콤이 제작되면서, 하나의 독립적인 장르로 정착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시트콤은 시청률 저하로 인한 침체기를 겪었다. 2000년대 중후반 들어서 제작된 시트콤들이 낮은 시청률과 무관심 속에 막을 내리면서, 한국 시트콤은 천편일률적인 내용과 등장인물로 인해 시청자들에게 신선함을 주지 못했으며, 한국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시대적 정서와 체험에 기반을 둔 한국적 웃음 개발에 소홀했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러던 와중에 이러한 시트콤의 위기를 극복하기라도 하듯 등장한 작품이 바로 <하이킥> 시리즈이다. 2006년 방영된 <거침없이 하이킥>과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방영된 <지붕 뚫고 하이킥>은 평균 시청률이 각각 14.2%와 19%, 최고 시청률이 25%, 27%에 달하는 기염을 토했다. 10%는커녕 5%에도 못 미치고 종영하는 시트콤들이 즐비하다는 점에서 이는 경이적인 수치이다. 게다가 하이킥이 방영되는 저녁 7-8시는 일일드라마가 강세를 유지하고 있는 시간대이다. 보통 한국에서 가장 시청률이 높게 나오는 드라마들이 방영되는 시간이 바로 이 7-8시이다. 하이킥은 일일드라마의 시청자들을 시트콤으로 끌여들였거나, 평소 TV를 시청하지 않았던 사람들을 TV 앞으로 끌어당긴 것이다. 참고문헌 학위 논문 김미라(2009).시트콤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 연구:<지붕뚫고 하이킥>을 중심으로 하종원(2002).시츄에이션 코미디의 한국적 변형과 그 특성-송창의의 로맨틱 시트콤을 중심으로- 김영성(2008).한국 가족 시트콤 연구-<순풍 산부인과>와 <거침없이 하이킥>을중심으로- 한재연(2010).<지붕 뚫고 하이킥>의 현상 텍스트와 생성 텍스트- 김민솔(2009).시트콤 장르의 희극적 특성에 관한 연구-지붕뚫고 하이킥을 중심으로- 단행본 배꼽 -오쇼 라즈니쉬(1991) 기타자료 하이킥!짧은 다리의 역습 동영상 하이킥!짧은 다리의 역습 공식 홈페이지 키워드 문화적, 하이킥, 한국시트콤, 사회, 미디어 |
2017년 7월 31일 월요일
미디어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으로 본 한국시트콤의 특성과 사회 문화적 함의 분석
미디어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으로 본 한국시트콤의 특성과 사회 문화적 함의 분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