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31일 화요일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개념, 유형,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특징,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중요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교육적 의의,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교육화, 한국 전통놀이의 전승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개념, 유형,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특징,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중요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교육적 의의,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교육화, 한국 전통놀이의 전승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개념, 유형,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특징, 한국.hwp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개념

Ⅲ.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유형
1. 투호놀이
1) 준비물
2) 진행방법
3) 진행 후 효과
2. 대형 윷놀이
1) 준비물
2) 진행방법
3) 진행 후 효과
3. 칠교놀이
1) 준비물
2) 진행방법
3) 진행 후 효과

Ⅳ.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특징
1. 전통놀이의 정의
2. 전통놀이의 특징

Ⅴ.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중요성

Ⅵ.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교육적 의의
1. 정서의 표현
2. 신체적 성장
3. 상호 존중의 가치
4. 의사 소통의 발달
5. 인지적 자율성
6. 비현실적인 욕구의 극대화
7. 다양한 형태의 표현
8. 사회적 기능과 태도
9. 민속 고유의 정서 함양

Ⅶ.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교육화

Ⅷ. 한국 전통놀이(민속놀이)의 전승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놀이와 자아개념 및 적응행동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놀이를 통해서 아동들은 실제상황에서 경험하지 못한 문제 상황에 대해 사전 경험을 얻을 수 있고 자신이 속해 있는 세계를 이해하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공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또한 아동들은 놀이를 통해 타인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며, 극화놀이는 동화 속의 인물을 자기와 동일시하게 되어 주인공의 역할을 배우게 되며 그 역할을 재구성하여, 표현해 봄으로써 즐거움과 대리만족을 느끼어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느낌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놀이가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오연주(1987)의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G유치원 원아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놀이프로그램을 실시했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개념검사 결과 더 높은 향상 점수를 얻었다. 또한 전통놀이를 실시했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개념의 하부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전통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아상이 향상되었다.
한상님(1987)은 서울 시내 K초등학교의 3학년 아동 88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놀이활동을 실시한 결과, 놀이활동을 실시했던 실험집단이 개인의 전체적인 자아존중감을 나타내는 총 자아 긍정과, 자기 자신을 어떻게 보며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자아수용 척도에서 의의 있게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김영애(1992)는 전남 소재의 유치원 원아 40명을 대상으로 놀이를 통하여 유아의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는데, 유아의 자기 자신 및 주위 환경에 대해 갖는 생각, 관념, 태도를 나타내는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놀이는 유아의 자신에 대한 느낌, 역할 지각, 자신감 등을 나타내는 자아상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외국에서의 연구를 살펴보면 Honing(1983)은 인식력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나이가 어린 아동일수록 이야기만 들은 경우보다는 실제로 타인의 역할을 해 보는 경우가 타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기술로 효과적이라고 했다. Smilansky(1968)는 사회극화놀이를 통해서 어린이는 언어소통을 하게 되며 나아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습득해 나간다고 했다.
Stab(1978)는 7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도움을 주는 사람과 도움을 받는 사람의 역할을 번갈아 해볼 수 있는 역할놀이 상황을 실시하여 역할놀이를 한 유아가 옆방에서 들려오는 곤경에 처한 사람의 소리에 돕기 반응을 더 많이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김용숙, 1996 재인용).

참고문헌
1. 김순용 외 2명, 한국전통 놀이의 방법 및 그 활용에 관한 조사, 숭의여자대학 유아교육과학회, 1988
2. 김영미, 한국 아동 전통놀이의 재조명을 통한 현대놀이의 비판적 고찰, 아주대학교, 2007
3. 나동광, 한국의 전통놀이에 대한 심리치료적 이해, 동국대학교사학회, 2011
4. 문만기 외 1명, 한국 전통 민속 놀이 놀이구조 연구, 영상예술학회, 2007
5. 오은순, 한국전통놀이의 변천사 -유아교육적 적용을 위한,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09
6. 최영란 외 1명, 한국 전통놀이에 나타난 공동체성 연구, 목원대학교, 2000

키워드
전통놀이, 민속놀이, 놀이, 교육, 전승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