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E형 남북대화와 이산가족, 70년의 기다림.hwp |
목차 서론 본론 1, 남북대화의 개요 2, 대화의 시작 3, 본격적인 남북대화의 역사 1) 80년대 이전까지 2) 1980년대까지의 남북대화 3) 1990년대 이후 4) 1990년대 말 이후 2007년까지 남북대화 결론 참고문헌 본문 서론 남한과 북한은 1953년 휴전협정체결 이후 아직도 법적으로 실질적으로 정전협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60년 동안 남과 북은 대결과 갈등을 반복해 왔다. 또 한편으로는 화해와 협력을 추진해 왔다. 남북은 그동안 수많은 대화를 진행하면서 중단하기도 하고 그리고 재개하였다. 이런 가운데 남북관계는 전진하기도 하고 후퇴하는 부침을 반복하였다. 이런 의미에서 남북대화는 남북 간의 갈등과 충돌, 그리고 분쟁의 가능성을 미리 막고 현재의 분단 상태를 관리 하면서 남북한의 평화적 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 방편으로 이해해야 한다. 남북관계의 역사는 지난 60년 동안 추진해 온 남북대화의 역사이다. 남북관계는 특히 정부 당국 간 협상과 대화를 통해 도약을 거듭해 왔다. 그것은 분단의 현실에서 남북 정부 당국 간 대화를 통해 이루어진 정치 경제 군사 사회 등 각 분야의 합의가 남북한 사회와 제도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그동안 남북대화가 양국 정부의 체제 유지 및 정통성 확보를 위한 국내 정치적 목적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는 일각의 지적도 있다. 지금까지의 남북회담은 서로에게 자신의 체제가 갖는 우월성을 선전하는 장이거나 위협의 공간이기도 했고 서로를 조금씩 이해하고 양보하는 공간이기도 했다(강호제 외, 2009년:). 그래도 그동안 남북 당국 간에 진행해온 각종 회담 추진 과정과 성과가 남북관계를 제도화시켜왔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존재한다. 한편 201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약 170만 명의 한국계 미국인들이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10만 명에 이르는 미주 한인들이 북한에 가족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이산가족들 중 대부분의 사람들이(65-75%)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한국전쟁 때 그들의 가족들과 헤어지게 되었고, 나머지 25-35%의 사람들은 한국 전쟁 전, 광복 이후에 헤어졌다고 한다. 한국전쟁 당시 서울이 3일 만에 수복되었던 것처럼 수일 만에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잃었고 전쟁의 재앙을 피하기 위해 도망쳤다. 하지만 결국 한반도 북쪽을 잠식한 철의 장막 때문에 연락은 두절되고 가족들의 행방이나 소식은 완벽하게 가려지게 되었다. 한 아버지와 아들은 아내이자 어머니인 그녀를 두고 올 때, 곧 다시 돌아와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평생 만날 수가 없었다. 아이들을 두고 온 어머니 역시 자식들을 두번 다시 만나지 못했고, 혼잡한 전쟁 통 속, 피난 행렬과 수많은 인파 속에서 아이들이 부모를 잃는 일은 비일비재 했다. 2000년 8월에 있었던 1차 이산가족 상봉으로부터2001년 6월28일까지 겨우 11개월이 지났을 뿐이었지만 원래 이산가족 상봉에 등록했었던 116,460분들 중 12,664명의 어르신들이 돌아가셨다. 이러한 통계는 이산가족 1세대 분들이 돌아가시기 전에 우리가 이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하고 싶은 말 잘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거두세요^^* 키워드 남북대화, 남북, 사회, 이산가족, 사회문제론, 가족 |
2018년 3월 30일 금요일
사회문제론 E형 남북대화와 이산가족, 70년의 기다림
사회문제론 E형 남북대화와 이산가족, 70년의 기다림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