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2일 목요일

체계이론 사회체계와 사회제도

체계이론 사회체계와 사회제도
[체계이론] 사회체계와 사회제도.hwp


본문
체계이론 사회체계와 사회제도
체계이론의 중심 개념인 체계란 부분요소들 간의 관계가 상호연관된 상호 의존적인 구성체를 말한다. 여기에 시간의 개념을 추가하여 앤더슨과 카터(Anderson & Carter, 1990)는 체계란 구별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요소들로 이루어진 조직화된 전체 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체계 개념을 인간의 삶이 이루어지는 사회체계에 적용하게 되면, 체계는 (1) 조직화(organization) , (2) 상호인과성(mutual causal), (3) 항구성(constancy), (4) 공간성(spatiality), (5) 경계(boundary)라는 다섯 가지 속성을 가진다(Martin & OConnor, 1989; 이인정, 최해경, 2007, 재인용).
여기서 조직화란 체계의 부분 혹은 요소가 서로 관계가 있고 연결되어 있음을 뜻한다. 상호인과성은 상호 의존을 말한다. 항구성은 체계가 지속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공간성이란 체계가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며 관찰될 수 있음을 뜻한다. 경계란 체계의 테두리로 다른 체계들과 환경을 구분한다. 요컨대, 체계란 내부적으로는 다수의 성원들로 구성되며, 성원들 간에는 상호 의존과 상호작용이 이뤄지고, 외부적으로는 환경과 자체를 구분하는 경계선을 가지고 있는 존재다.
사회체계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회제도가 있다. 제도와 체계는 엄밀한 의미에서 서로 다른 개념이지� �� 흔히 혼용되기도 한다 1)특히, 사회제도를 오랜 시간에 걸쳐 사회적으로 확립되고 비교적 안정된 지위와 구실과 규범과 절차의 조직적 체계 (김경동, 1985)로 정의하게 되면 사회제도와 사회체계는 매우 유사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더 나아가 김경동(1985)은 사회제도는 그 자체가 하나의 사회적 부분체계(societal subsystem) 라고 하여 제도와 체계를 동일한 개념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제도가 기능 중심의 정태적인 모습을 상대적으로 강조한다면 체계는 조직의 역동성과 하위단위 간의 상호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강조되는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상호작용성과 동태성이 강조된 사회체계의 속성은 그린(Greene)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린이 정리한 사회체계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Greene, 1991; 이인정, 최해경, 2007, � ��인용).
사회체계는 한 단위 혹은 전체를 이루는 상호 관련된 성원들로 이루어진다.
사회체계의 조직상 범위는 확립되었거나 혹은 임의로 규정된 경계와 성원 자격으로 정해진다.
경계는 다른 사회체계들과 구별되는 체계로서의 정체성과 중심점을 규정한다.
체계의 환경은 그 체계의 경계선 밖으로 규정되는 것이다.
사회체계에서의 삶은 그 참여자들의 활동의 합 이상이다.
사회체계의 성원들 간에는 고도의 상호 의존과 조직이 있다.

하고 싶은 말
중요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정리한 과제물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