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1일 일요일

식물 조직의 관찰 예비 보고서

식물 조직의 관찰 예비 보고서
식물 조직의 관찰 예비 보고서.hwp


본문
생물학 실험 예비보고서
생명과학과(학과)
학번 12141998
이름 배석환
1. 실험 제목 : 식물 조직의 관찰
2. 실험 날짜 : 2014/9/15
3. 실험 목적 : 식물의 조직과 세포를 관찰하고 현미경 사용방법을 습득하고 식물 잎의 기공의 구조와 개폐 기작을 이해한다.
4. 실험도구 : 광학현미경, 다양한 식물체의 잎, 핀셋, 면도칼, 슬라이드 글라스, 커버 글라스, 거름종이(or 티슈), 아세트산카민 염색약, 매니큐어, 스카치 테이프
5. 실험 방법 : 생략
6. 실험이론 :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의 차이점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있는 속씨식물은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로 구분하는데 떡잎이 한 장인식물을 외떡잎식물이라고 하고 떡잎 두 장이 마주보며 나오면 쌍떡잎식물이라고 하며, 이들은 여러 가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외떡잎식물에서 뿌리는 막뿌리이지만, 쌍떡잎식물은 어린뿌리로부터 자란다. 관다발의 배열의 경우 외떡잎식물에서는 관다발배열이 불규칙적이지만, 쌍떡잎식물은 규칙적이다. 또한 외떡잎식물의 경우 꽃가루의 형태가 단구형이지만, 쌍떡잎식물은 삼구형을 갖는다. 외떡잎식물에서는 줄기의 2기 생장이 드물지만, 쌍떡잎식물은 자주 있다. 외떡잎식물에서는 줄기의 관다발이 떨어져서 흩어져 있는 데 반해, 쌍떡잎식물의 줄기는 고리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잎의 경우 외떡잎식물에서, 잎맥은 나란히맥이지만, 쌍떡잎식물은 그물맥이다. 그리고 외떡잎의 식물의 꽃 부분들이 3의배수임에 반해, 쌍떡잎식물은 4또는 5의 배수이다.
공변세포
식물체는 뿌리를 통해 토양 속에 있는 양분과 수분을 흡수한다. 그 후 흡수한 물질들을 식물체 내 곳곳에 운반한다.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은 쉽지 않지만 식물체는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가지고 있다. 그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것들은 모세관설, 응집력설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보다 결정적인 원동력이 되는 것은 바로 증산작용이다. 잎에 있는 물을 기공을 통해 공기 중으로 내보냄으로써 아래에 있는 물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그런데 기공을 하루 종일 열어 놓을 수는 없다. 증산작용이 너무 활발하면 식물체 내의 수분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 기공의 개폐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공변세포이다.

하고 싶은 말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키워드
식물, 쌍떡잎식물, 실험, 쌍떡잎, 식물체, 외떡잎식물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