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식품분석실험> 표준용액의 제조와 표정 및 규정도계수 계산 과목명. 식품분석실험 목 담 당. 신 한 승 교수님 전 공. 식 품 공 학 과 학 번. 2007111784 성 명. 한 호 종 contents 1. Title 1 2. Abstract 1 3. Introduction 1 4. Materials & Methods 5 5. Results 6 6. Discussion 8 7. Reference 9 8. Acknowledgement 9 9. Homework 10 11 - 1. Title 표준용액의 제조와 표정 및 규정도계수 계산 2. Abstract 이번 실험은 표준용액을 제조함으로써 노르말 농도(N)와 표정 그리고 규정도계수에 대한 개념을 익히는 데 목표를 두고, 0.1N-HCl 표준용액 제조, 0.1N-NaOH 표준용액 제조, 그리고 1,2차 표정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0.1N-HCl 표준용액을 Na2CO3로 표정하여 1.16의 factor 값을 얻었고, 두 번째 실험에서 0.1N-NaOH 표준용액을 옥살산으로 1차 표정하여 1.09의 factor 값을, 그리고 0.1N-HCl 표준용액으로 2차 표정하여 1.14의 factor 값을 얻었다. factor 값이 1이라 함은 목표했던 농도와 같은 값을 가진 용액이라는 의미이므로 실험으로 얻은 factor 값을 통해 제조한 용액이 0.1N에 가깝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3. Introduction 가. 실험목적 앞으로 있을 모든 실험에 기초가 될 표준용액의 제조방법을 익히면서 앞으로의 실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차관계에 대해 경험해보고, 개념적으로는 분석화학의 기본인 정량분석과 중화적정, 표준용액 그리고 정확한 실험여부를 알 수 있는 규정도계수(f)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는데 목표를 둔다. 나. 분석화학 화학분석에서는 여러 가지 물질을 다루게 되는데 한 물질을 분석하려면 실험에 앞서 분석 시료가 요구하는 정밀도로 가장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을 분석 화학(analytical chemistry)이라 한다. 화학 분석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정성분석(qualitative analysis)과 정량분석(quantitative analysis)이 있다. 1) 정성분석(qualitative analysis) 화합물이나 원소의 혼합물에 존재하는 물질의 성질을 검출하고 확인하는 분석법. 2) 정량분석(quantitative analysis) 화합물이나 원소의 혼합물에 존재하는 성분 물질의 양을 알아내는 분석법. 정량분석의 경우에 보통은 시료의 성분을 알고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먼저 정성분석을 해야 한다. 정성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침전의 양이나 용액의 색깔 등으로 성분 물질의 양적 관계를 대략 알 수 있다. 다. 분석 방법의 분류 1) 무게분석(gravimetric analysis) 시료 용액에 적당한 침전제를 가하여 구하고자 하는 성분을 침전시켜 그 침전을 걸러서 씻고, 말려서 칭량한 후에 마지막에 얻은 물질의 화학식과 그 무게로부터 구하고자 하는 성분의 양을 계산하는 분석방법이다. 2) 부피분석 (volumetric analysis) 용액 또는 기체의부피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부피 분석법에는 적정법이 있다. 이것은 시표 물질과 화학량론적으로 반응하는 적당한 시약의 표준용액을 시료에 적가하여 반응이 끝날 때까지 소비된 표준용액의 부피를 측정하고, 이 표준용액의 농도와 부피에서 미지물질의 양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적가란, 뷰렛을 이용해 적정용액을 한 방울 가량 씩 떨어뜨려 적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실험에서 HCl과 NaOH의 중화적정법을 통하여 분석화학의 기초가 되는 부피분석법에 대하여 익히고자 한다. 3) 기기분석 (instrumental analysis) 분석기기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다. 기기분석법에는 전자기 복사선의 상호작용에 대한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는 광학적 분석법과 물질의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는 전기화학적 분석법이 있다. 또 원자의 방사선을 이용하는 방사화학 분석법, 물질의 분리분석에 기초를 두는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이 있다. 라. 당량과 노르말농도(N) 많은 물질이 1:1 몰비로 반응하지 않으므로 같은 몰농도의 용액이 반응할 때의 부피비는 1:1이 아니다. 이때 당량과 노르말농도의 개념을 도입하면, 1:1 몰비 반응에 대한 몰농도 계산과 유사한 계산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노르말농도(normality)라고 하는 새로운 농도단위를 정의해야 한다. 기호 N은 노르말농도를 나타낸다. 용액의 노르말농도는 용액 1리터당 물질의 당량(equivalent) 수이다. 즉, 노르말 농도는 용액 1L중의 용질의 그램당량수를 나타낸다. 그램당량수는 용질의 질량을 1그램당량으로 나눈 값이다. 또 1그램당량은 분자량을 당량수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N= eq over L = meq over mL meq = 밀리당량(milliequivalent) 당량은 몰과 같은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당량수는 각 분자로부터 나오는 반응단위 (reacting unit)의 수 또는 각 분자가 반응하는 반응단위의 수에 따라 정해진다. 예컨대, 어떤 물질 1분자가 반응에 참여하는 수소 n원자를 갖거나 산소 n/2 원자와 당량인 경우 당량수는 n이다. 예를 들어, 1몰의 HCl은 산으로서 반응하는 1몰의 H+를 가지고 있으므로, 1당량의 H+을 가지고 있다. 한편, 1몰의 H2SO4는 반응단위 H+를 2몰 가지고 있으므로 2당량의 H+를 가지고 있다. 당량수는 다음 관계식에 의해 몰수로부터 계산할 수가 있다. eq = 몰 × 분자당 반응단위의 수 meq = 밀리몰 × 분자당 반응단위의 수 노르말 농도 이외에도 실험수행 과정에 따라 다른 농도를 사용하기도 한다 <표1> 농도의 종류와 정의 농 도 하고 싶은 말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키워드 분석, 용액, 표준용액, 표준, 실험, 물질 |
2018년 7월 1일 일요일
식품분석실험레포트1
식품분석실험레포트1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