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경영학] 어촌 관광 스토리텔링 성공 사례.hwp |
목차 목 차 Ⅰ 서론 1. 보고서의 목적 2. 어촌 관광의 개념과 유형 3. 한국 어촌관광 산업 현황 Ⅱ 본론 1. 관광스토리텔링이란 2. 어촌 관광 스토리텔링 성공 사례 소개 < 안동 간고등어 스토리텔링 성공 사례 소개 > < 포항(구룡포) 과메기 스토리텔링 성공 사례 소개 > 3.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관광 스토리텔링 구성 <부산 기장 곰장어> 4. 관광스토리텔링 사업 가능성 분석 Ⅲ 결론 1. 어촌 관광스토리텔링 사업 활성화 방안 2. 개인적인 의견 Ⅳ 참고문헌 본문 2. 어촌 관광스토리텔링 사례 소개 어촌의 관광스토리텔링의 사례조사는 우선 각 수산물이 각 지역에서 어떠한 역사적 유래를 가지는지, 각 지역의 수산물이 어떻게 문화상품화 되었는가 과정을 살펴보고, 어떠한 스토리텔링의 전달 매개로 관광을 창출하였는지 알아보았다. < 안동 간고등어 스토리텔링 성공 사례 소개 > 1) 안동 간고등어의 역사적 유래 40 - 50년 전까지만 해도 간고등어가 우리들의 밥상에 오르기까지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복잡한 유통과정이 있었다. 고등어를 잡는 어부에서부터 이것을 각지로 운반하는 우마차꾼과 바지게꾼, 고등어의 배를 따서 다듬는 아지매, 소금 간을 하는 사람 등 간고등어를 둘러싼 가공과 유통에는 각 부분의 일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땀과 정성이 베어있다. 바다와 꽤 떨어져 있는 안동에서, 생선은 무척 귀한 산물이었다. 이동수단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바다인 강구, 축산, 후포 등으로부터 고등어를 가져오자면 통상 1박 2일이 걸렸다. 강구에서 새벽 5 - 6시쯤 출발하면 날이 어두워져서야 황장재 넘어 신촌마을에서 저녁을 먹고 하루 밤을 쉴 수 있었다. 다음날 새벽에 다시 출발하여 진보나 임동면 챗거리에 가서야 고등어를 넘길 수 있었다고 한다. 이틀이나 걸리는 이동시간으로 인해 고등어가 상하기 쉽게 때문에 고등어의 장기간 보존을 위해서는 소금이 필수적이었다. 소금간을 하는 것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먼저 고등어를 잡자마자 즉석에서 배를 따고 간을 하는 형태가 있고, 두 번 참고문헌 협동문화경제연구소,《15조원 농어촌특별세사업 추진상황 중간평가》, 2000 해양수산부,《어촌지역 활성화와 어업인 복지확충》, 2003 해양수산부,《수산업 연차보고서》, 2006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어촌관광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200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어촌관광을 통한 어촌 활성화 방안》, 2008 배영동, 《 음식의 사회화 안동지역 전통음식의 탈맥락화와 상품화》, 2005 배영동, 《안동지역 간고등어의 소비전통과 문화상품화 과정》, 2004 김혜진, 최규환, 《관광자원의 스토리텔링 요소가 관광지 매력지각 및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2002 이코노믹리뷰 2005년 9-13호, 홍미경 기자, 《안동 간고등어의 성공비결》 정건조 저, 경향신문사, 《한국의 맛》, 2004.09.22 최영기, 강대석, 이춘성 저, 21세기북스, 《대통령의 맛집》, 2010.08.19 한국관광공사 ;문화체육관광부, 우리고장 맛 이야기 :전국 170개 지역 대표음식 스토리텔링 , 2009 농어업 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농어촌 경제 활성화 우수사례 연구, 2009 안동시청 http://www.andong.go.kr/ 안동 간고등어 홈페이지 http://godunga.co.kr 울산광역시청 http://www.ulsan.go.kr/ 기장군청 http://www.gijang.go.kr/ 키워드 스토리, 텔링, 관광, 스토리텔링, 고등어 |
2017년 9월 3일 일요일
관광경영학 어촌 관광 스토리텔링 성공 사례
관광경영학 어촌 관광 스토리텔링 성공 사례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