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9일 금요일

인간과 과학 2 가습기 살균제 피해

인간과 과학 2 가습기 살균제 피해
인간과 과학 2. 가습기 살균제 피해.hwp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위험사회'의 도래
2.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의 발생과 과정
3.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의 규모 4, 사건에 대한 법적 책임 공방 5. 기업윤리와 과학기술윤리
6,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결론: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으로 인한 과학에 대한 시각 변화

참고문헌



서론

우리 사회는 그간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시기에 따라 불거지는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직면해 왔다. 그 가운데에는 위험에 대한 논의도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최근수백 명의 사망자와 피해자가 발생한 대형 참사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남에 따라 생활 속의 위험과 안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그 중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은 2011년 첫 피해자가 발생한 이후 수백 명의 사망자와 피해자를 낸 최초의 살생물제 참사로 2014년의 세월호 참사, 2015년의 메르스 사건과 함께 일상에서의 안전과 위험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으며, 우리나라에서만이 아니라 '세계 최초로 발생한 생활제품으로 인한 대규모 치사사건'으로서 화학물질 오남용으로 인한 바이오사이드(biocide, 살생물제 또는 생태계교란물질) 피해사례로 분류되고 있다(문성제, 2014).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은 2006년

본문
목차

서론

본론
1, '위험사회'의 도래
2.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의 발생과 과정
3.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의 규모 4, 사건에 대한 법적 책임 공방 5. 기업윤리와 과학기술윤리
6,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결론: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으로 인한 과학에 대한 시각 변화

참고문헌



서론

우리 사회는 그간 급속한 경제 성장과 함께 시기에 따라 불거지는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직면해 왔다. 그 가운데에는 위험에 대한 논의도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최근수백 명의 사망자와 피해자가 발생한 대형 참사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남에 따라 생활 속의 위험과 안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그 중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은 2011년 첫 피해자가 발생한 이후 수백 명의 사망자와 피해자를 낸 최초의 살생물제 참사로 2014년의 세월호 참사, 2015년의 메르스 사건과 함께 일상에서의 안전과 위험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으며, 우리나라에서만이 아니라 '세계 최초로 발생한 생활제품으로 인한 대규모 치사사건'으로서 화학물질 오남용으로 인한 바이오사이드(biocide, 살생물제 또는 생태계교란물질) 피해사례로 분류되고 있다(문성제, 2014).

가습기살균제 피해 사건은 2006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이필렬 생명과 환경 따님. 1997
노진철. (2014). 위험사회의 관점에서 본 재난의 구조적 이해. 『국가위기관리학회』6(2): 3-15.
문성제. (2014).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피해와 국가의 위험관리책임. 『소비자문제연구』 45(1): 67-88.
박재영. (2006). 뉴스 평가지수 개발을 위한 신문 1면 머리기사 분석. 『한국의 뉴스미디어 2006: 한국 저널리즘과 뉴스미디어에 대한 연차보고서』. 한국언론재단: 147-220.
박재영, 안수찬, 박성호. (2014). 대통령 선거 보도의 기사품질, 심층성, 공공성의 변화: 1992~2012년 국내 주요 신문의 경우. 『방송문화연구』 26(2): 33-66.
박희제. (2014). 위험사회에서 세계시민주의로: 울리히 벡의 (기술)위험 거버넌스 전망과 한국의 사회학. 『사회사상과 문화』 제30집: 83-120.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폐손상조사위원회. (2014).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 사 건백서: 사건 인지부터 피해 1차 판정까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집담회 자료집. (2016). 『가습기살균제와 공중보건의 위기』.
안은영. (2016).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위험보도 프레임 연구: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우지숙, 최정민. (2015). 공기업에 대한 언론의 프레임 유형 연구: 5개 일간지 사설분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3(2): 315-343.
유선영. (1995). 객관주의 100년의 형식화 과정. 『언론과 사회』 10: 86-128.
유진솔. (2015). 갑을논란 보도의 공정성과 심층성에 관한 연구: 조직의 위기 책임성
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순진, 이동하. (2010). 4대강 사업에 대한 TV 뉴스의 의제 설정과 프레임. 『환경사회학연구 ECO』 14(1): 7-62.
이건호. (2008). 한 미 신문 기사의 심층성과 신뢰도 및 독창성 분석: 6개 한국 신문과 2개 미국 신문 1면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2(5): 107-129.
이선민, 이상길. (2015). 세월호, 국가, 미디어: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세월호 의견기사에 나타난 '국가 담론' 분석. 『언론과 사회』 23(4): 5-66.
이연. (2010). 재난방송의 역할과 과제. 『방송문화』 343: 10-15.


하고 싶은 말
인간과 과학 2. 가습기 살균제 피해

2.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시민들이 과학기술을 바라보는 시각과 연결하여 생각해보시오.
- 참고자료: 이규연 또는 안종주의 저서, 이필렬 경향신문 칼럼 등

키워드
인간과과학, 가습기살균제, 방통대인간과과학, 방통대 인간과과학, 방통대인간과 과학

댓글 없음:

댓글 쓰기